사회 사회일반

지자체 1년 내내 축제중

작년 지자체 행사 1만4000건으로 23% 급증

재정난 불거지지만 소규모 행사 오히려 늘려

지방자치단체들의 무분별한 행사·축제로 지방재정 문제가 불거지고 있지만 지방 축제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자체들이 원가검증을 받아야 하는 대형 행사는 줄이는 대신 소규모 행사를 대거 늘렸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22일 행정자치부가 공개한 ‘2014년도 지자체 행사·축제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지자체 행사·축제는 총 1만 4,604건에 달했다. 이는 전년도 보다 23% 늘어난 것이다. 특히 이 중 광역단체의 경우 5,000만 원, 기초단체 1,000만 원 미만의 소규모 행사는 약 50% 가량 급증했다. 다만, 3억 원 이상의 대규모 이벤트는 9.9% 줄었다. 행자부 관계자는 “ 2013년도부터 대형 행사·축제의 경우 원가를 공개하도록 한 방침에 따라 공개 대상이 아닌 소규모 행사가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17개 시도(시군구 포함) 중 울산과 충남을 제외한 15개 시도 모두에서 행사·축제가 늘어났다. 특히 제주와 강원은 각각 623건, 563건이나 증가했다. 전남, 경기, 경북, 전북의 경우 역시 전년도보다 200건이나 더 많은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 집행비 실적으로 분류해보면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인천과 부산의 경우 1년 전보다 각각 51억원 45억원 가량의 비용을 더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전남 등 9개 시도에선 총 1,680억원 가량의 행사·축제 씀씀이를 줄였다. 특히 전남은 적자가 누적된 ‘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를 지난해에 개최하지 않아 489억원 가량을 아낀 것으로 조사됐다. 행자부 관계자는 “지역 행사축제 원가정보를 모두 공개함으로써 예산 효율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며 “유사중복 등 불필요한 행사축제는 과감하게 통합 조정함으로써 지방재정의 건전성을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