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재식의 스마트 골프] <11> 디봇 자국에 놓인 볼

볼부터 맞히는 과감한 다운블로가 성공 열쇠 <br>클럽 짧게 잡아야 정확한 임팩트에 도움

클럽을 약간 짧게 쥐고 가파른 각도로 눌러 쳐야 볼부터 깨끗이 맞힐 수 있다. 평탄한 각도로 휘두르면 클럽헤드가 디봇 입구 턱에 걸리게 된다.


페어웨이 한가운데로 잘 날린 볼이 디봇(divotㆍ샷에 의해 떨어져 나간 뗏장 조각) 자리에 빠져 화가 났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프로골퍼들도 아주 싫어해서 디봇 자국에 놓인 볼에 대해서는 무벌타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룰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할 정도지요. 하지만 ‘볼이 있는 그대로 플레이 한다’는 골프의 대원칙이 여전히 지켜지고 있습니다. 아주 작은 벙커나 다름없는 디봇 자국 속에 놓인 경우 뒤 땅을 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볼부터 깨끗이 맞혀야 하니까 가파른 각도의 다운블로가 필요하죠. 볼이 지면보다 약간 낮게 위치해 있는 탓에 평탄한 스윙으로는 클럽헤드 하단부가 디봇 입구에 걸리기 쉽습니다. 가파른 각도로 ‘눌러’ 쳐야 하지요. 백스윙 때 손목을 좀더 일찍 꺾어주고 다운스윙 때 양손이 헤드보다 약간 앞서게 하면 누르듯이 치는 스윙이 가능합니다. 볼은 평소보다 약간 오른쪽에 오도록 스탠스를 잡아야 스윙궤도의 최저점에 이르기 전에 임팩트가 일어납니다. 준비자세에서 척추를 타깃 반대 방향으로 기울이지 않는 것도 하향타격에 도움이 됩니다. 미리 체중을 왼발에 실어 놓는 셈이지요. 하체를 잡아놓고 팔로만 내리치는 듯한 느낌을 가지도록 합니다. 또한 클럽을 짧게 내려 잡아야 컨트롤이 쉽습니다. 대신 거리 손실을 감안해 번호 하나 정도 긴 클럽을 선택합니다. 디봇 자국 내 볼의 위치에 따라 치는 요령이 달라집니다. 가장 어려운 경우는 디봇의 입구 부분에 있는 상황입니다. 클럽헤드가 끼어들 공간이 없으니까요. 이때는 과감한 스윙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디봇을 만든다’는 기분으로 쳐야 합니다. 단, 볼에서 너무 먼 곳을 치면 최악의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토핑을 내더라도 큰 손해가 없다는 생각으로 잔디보다 볼을 먼저 맞히도록 치는 것이 좋습니다. 볼이 디봇 자국의 중앙에 놓인 경우는 앞에서의 설명처럼 정확한 임팩트에 초점을 맞추면 됩니다. 디봇의 끝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볼이 자연스럽게 떠오르므로 오히려 평지보다 샷을 하기가 쉽지만 헤드가 디봇 자국의 턱을 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먼저 손목을 풀어주도록 합니다. 디봇이 나 있는 방향이 페이스 각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도 계산해야 합니다. 타깃보다 오른쪽을 향하고 있다면 임팩트 때 헤드의 힐 부분이 턱에 걸려 페이스가 닫힐 수 있습니다. 어드레스 때 페이스를 약간 열어주거나 스탠스 정렬 자체를 오른쪽으로 맞춥니다. 디봇 자국이 왼쪽을 향해 나 있을 경우는 반대로 합니다. /미국 PGA 클래스A 멤버ㆍ화성골프아카데미 헤드프로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