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전립선비대증 환자 급증…5년새 67.3%↑

노인층을 중심으로 전립선비대증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 심사결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6년 45만8,955명이던 전립선비대증에 환자 수가 2010년 76만7,806명으로 5년사이 67.3%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연평균 증가율은 13.7%다. 환자가 늘면서 진료비도 큰 폭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전립선비대증 총진료비는 2006년 555억원에서 지난해 930억원으로 67.4% 늘었다. 고령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게 주효했다. 70대 이상 환자는 2006년 13만4,554명에서 2010년 25만5,209명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17.4%로 평균치를 크게 웃돌았다. 전체 환자 중 7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6년 29.3%에서 지난해 33.2%로 큰 폭으로 늘었다. 60대 환자 비율은 34%, 50대는 23.3%로 우리나라 전립선비대증 환자 10명 중 9명은 50대 이상인 셈이다. 남성의 전립선은 30세 이후부터 커지기 시작한다. 증상이 없다가 50대 이후 드러난다. 발병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과 관련이 있다. 남성 호르몬 분비는 사춘기 때 최고조에 이르렀다가 완만하게 줄어들지만 60~70대가 되어도 전립선이 자극받아 자랄 만큼 계속 분비된다. 여성이 40대 이후 여성호르몬 분비가 급격히 줄어 갱년기를 겪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전립선은 방광 아래 붙어 있는데 그 사이로 요도가 지난다. 비대해지면 소변 배출이 어려워진다. 소변 줄기가 얇아지고 흐름이 끊기기도 한다. 방광의 저장능력이 떨어져 화장실을 자주 찾는다. 전립선비대증을 방치하면 요로감염ㆍ혈뇨ㆍ급성요폐ㆍ방광결석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조기에 치료하고 흡연과 과음을 피하는 것이 좋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