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일ㆍ생선 방사능 측정은 손도 못대

KINS 광주 방사능 측정소<br>日 방사능 유입 점검 집중<br>인력 모자라 他업무 불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산하 광주 방사능 측정소가 토양ㆍ지표수ㆍ과일ㆍ생선ㆍ육류 등에 대한 방사능 환경 변화 연구를 중단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따른 비상상황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서 국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 방사능 점검에 매달리다 보니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한계상황을 맞았기 때문이다. 15일 KINS에 따르면 광주 측정소뿐 아니라 KINS가 운영·관리하는 서울ㆍ춘천ㆍ대전ㆍ군산ㆍ광주ㆍ대구ㆍ부산ㆍ제주ㆍ강릉ㆍ안동ㆍ수원ㆍ청주 등 12개 측정소가 대부분 장비와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 12개 지방측정소는 감마핵종분석기(HPGe) 12대와 이동식 장비 3대로 대기 중뿐 아니라 토양ㆍ해수ㆍ채소 등의 방사능 물질 검출 여부를 확인ㆍ분석한다. 그러나 일본 원전 사고에 따른 비상근무체제 돌입 후 한 달 간격으로 실시하던 대기 중 방사능 물질 시료 채취가 하루 한번으로 강화되면서 방사능 측정 연중계획에 차질이 발생한 것. 현재 전남대에 설치된 광주 측정소의 연구인력은 소장과 연구원과 연구보조원을 포함해 3명이다. 이들은 24시간 이어지는 공기부유진 측정 업무로 토양ㆍ지표수ㆍ과일ㆍ육류 등 자연환경 방사능 물질 측정은 잠정 중단한 상태다. 광주 측정소는 연간 광주ㆍ전남 지역 15군데의 지표수 하천에 대한 방사능 물질 측정을 실시해야 하는데 현재까지 4곳의 하천 시료를 채취했을 뿐 HPGe를 통한 정밀분석은 실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토양과 채소류ㆍ육류 등을 채취하는 작업에도 큰 차질을 빚고 있다. KINS의 한 관계자는 "방사능 물질 유출에 대한 위험성이 확산되면서 비상근무체제 돌입 후 휴일도 반납한 채 일하고 있지만 급증하는 분석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기 매우 어렵다"며 "현재 방사성 물질 측정장비와 인력은 KINS를 비롯해 표준연ㆍ기초연ㆍ원자력연구원 등 일부에 국한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또 "광주뿐 아니라 다른 지방측정소도 사정은 마찬가지"라며 "측정장비뿐 아니라 인력확충 문제가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에 대한 전면적인 해양관측 및 감시체계를 가동해나갈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는 오는 8월까지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외해 24개소, 연안 30개소를 선정해 2개월 주기로 시료를 채취, 방사능 물질 검출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특히 대한해협은 일본 원전사고 해역의 바닷물이 대마난류를 타고 우리나라 남ㆍ동해안으로 유입되는 길목이므로 동 해협(3개소)에 대해서는 매달 시료 채취 및 분석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