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 합의 경제대책회의 “시동”/어제 첫 모임… 정례화 합의

◎“우선 현상황 진단” 20일 재경원 보고받아/생산성 향상·저축증대·물가안정 등 역점여야 합의로 구성된 경제대책회의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경제난국 타개를 위한 경제대책회의는 10일 국회에서 첫 모임을 갖고 여기서 다룰 주요 의제 선정에 앞서 정확한 우리경제 진단을 위한 정부 보고를 받기로 합의했다. 대책회의는 이를 위해 오는 20일께 2차회의를 열어 강경식 부총리겸 재경원장관으로부터 경제현안에 대한 보고를 받는 한편 상임위원들의 중지를 모아 주요 의제를 선정키로 했다. 대책회의는 또 이같은 모임을 가급적 정례화시키기로 하고 노조대표 등 일부 위원들이 제기한 노사형평을 감안해 상임위원 구성원수를 확대하기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3당 정책위의장에게 맡기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는 상임위원인 신한국당 김중위, 국민회의 이해찬, 자민련 허남훈 정책위의장과 최종현 전국경제인연합회장, 김창성 한국경영자총협회장, 김상하 대한상의회장, 구평회 대한무역협회장, 박상희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장, 박인상 한국노총위원장, 권영길 민주노총위원장, 박진근 한국경제학회장, 최청림 신문방송편집인협회 부회장, 정광모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장 등 13명이 참석했다. 비상임위원인 강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은 정부대표로 참가했다. 이들은 앞으로 최대현안인 경제회생방안으로 기업의 투자의욕 고취와 노동생산성 향상, 저축증대를 위한 캠페인, 에너지 절약운동 등을 적극 추진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또 전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물가안정방안과 사교육비 줄이기 등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국당 김정책위의장은 이와관련, 『국민적 참여와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다각적인 정책대안을 만들어 구체적인 성과를 올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책회의는 특히 총체적 위기를 맞고 있는 경제난국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한 분위기 조성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참석한 상당수 위원들은 대책회의 성격이 강제력과 구속력이 있는 의사결정기관이 아닌 점을 들어 상임위원들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부정책에 반영되기가 곤란할 것이라는 문제점을 제기하기도 했다. 결국 경제대책회의는 전국민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에너지 절약운동과 저축증대 캠페인 등을 통한 경제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오는 7월말까지 나름대로 대책을 만들 방침이지만 정부에 촉구하는 선에서 그칠 전망이다.<황인선>

관련기사



황인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