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李대통령 나서 대국민 입장표명 방침

■ 청와대 움직임<br>"후폭풍 최소화" 회견·담화 등 형식 고민<br>문책성 개각…대기업 유치 대안 모색도

이명박 대통령이 사실상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후폭풍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과의 뜻을 담은 대국민 입장표명에 직접 나설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동남권 신공항 입지선정 평가 결과가 '대상지역 없음'으로 나온 데 대해 국민 앞에 직접 나서 유감을 표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이해를 구할 것으로 30일 전해졌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입지선정위원회 평가 결과가 백지화 결론이 나온 데 대해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직접 이해를 구하는 자리를 마련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현재 대국민 입장 표명의 형식과 관련해 기자회견, 대국민담화, 국민과의 대화 등 여러 가지 형식을 놓고 고민하고 있으며 다음달 4일 예정된 라디오연설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이 신공항 백지화시 직접 국민들에게 설명을 하기로 한 것은 동남권 신공항 건설이 대선 공약 사항이고 국정의 최종 책임은 대통령이 져야 한다는 '결자해지'의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2009년 11월 특별생방송 '대통령과의 대화'를 통해 대선공약인 세종시 건설을 수정하기로 한 데 대해 사과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의 입장표명 이후 청와대는 사태 추이를 관망하면서 반발 수위가 계속 높아질 경우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등에 대한 문책성 개각을 단행할 수도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 경우 일부 재임 기간이 긴 '장수 장관'과 국정수행 능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일부 안보라인에 대한 개각도 함께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 밖에도 청와대는 'TK(대구경북)' 지역과 부산 지역 불만을 완화시키기 위해 과학비즈니스벨트를 해당 지역에 분산배치 하는 방안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다른 대형 국책사업을 배분해 대기업들의 진출을 유도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각계의 의견들을 청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동남권 신공항 후속 대책과 관련해서 청와대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거나 결정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외부 일정을 잡지 않고 신공항 입지 평가 발표와 관련한 핵심 참모들의 보고를 수시로 받았고 임태희 대통령실장도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이날 오후 평가 결과 발표 이후 대책을 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