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5년간 벤처투자 4조3000억 확대 효과


정부가 15일 발표한 벤처ㆍ창업활성화 대책으로 향후 5년간 4조3,000억원의 투자확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날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자본시장연구원은 정부 대책에 따라 벤처ㆍ창업생태계로 유입되는 투자금이 당초 전망치(6조3,000억원)보다 68.3% 증가한 10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이를 세분화하면 우선 창업단계에서 투자자금이 8,000억원 증가(2조4,000억원→3조2,000억원)하고 기업 성장단계에서 1조8,000억원 증가(3조9,000억원→5조7,000억원)한다는 내용이다. 아울러 재투자 단계에서는 기업 인수합병이나 코넥스 상장 등을 통해 4조4,000억원의 투자금이 회수되는데 그중 1조7,000억원이 다시 벤처시장 등에 재투자될 것이라는 게 연구원의 전망이다.

연간 벤처투자 규모는 지속적으로 늘어 지난해 1조2,000억원에서 2017년에는 2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게 기재부 측의 전언이다. 이와 함께 벤처기업의 매출과 고용은 각각 1.7%포인트, 0.8%포인트 늘어나고 엔젤투자자 규모도 지난해 2,608명에서 2017년에는 1만2,000명에 이를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한편 이번 대책에는 법인세ㆍ소득세 감면 등의 대책이 포함됐지만 정부의 세금수입은 향후 5년간 오히려 1조6,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세금을 깎아줘도 벤처기업 성장 등으로 인해 기업 매출 등이 늘고 벤처투자도 활성화돼 그만큼 법인세ㆍ소득세 등이 더 걷힐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이는 경기회복 여부, 투자활성화 정도 등에 따라 유동적인 만큼 세수증가를 낙관하기에는 이르다는 신중론도 적지 않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