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인적쇄신 한달 넘게 미적미적

대통령 실장 등 참모진 개편<br>예산안 처리 뒤로 또 미뤄<br>마땅한 인물 부재도 한몫

청와대가 인적쇄신을 두고 눈치보기를 하고 있다.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이후 등을 돌린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참모진 개편이라는 카드를 내놓았지만 한달이 지난 지금까지 차일피일 미루며 시간만 보낼 뿐이다. 여권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인적쇄신을 할 마음이나 있는지 의심스럽다"는 말까지 나온다. 인적쇄신을 미루는 청와대의 핑계는 예산안 처리다. 국회에서 예산이 처리되고 정리가 돼야 청와대도 새로운 진용을 짤 수 있다는 논리다. 하지만 속내는 국민들이 환영하고 받아들일 만한 인물을 찾기 어려운데다 여당은 물론 국회와의 관계 등을 고려해 적합한 인선이 쉽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6일 기자들과 만나 ""국회에서 예산처리에 가닥이 잡히지 않으면 (참모진 개편을) 손대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인사는) 연말께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청와대 조직개편은 인사와 별도로 오는 12일부터 시행된다"고 덧붙였다. 이르면 이번주 인적쇄신을 단행하겠다던 방침을 하루 만에 뒤집은 것이다. 청와대의 속내가 인적쇄신을 내걸고 국회의 예산안 처리를 압박하려는 의도일 수도 있지만 국민들에게는 민심이반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행태라는 목소리도 높다. 청와대는 예산안이 처리되지 되지 않아 인적쇄신을 못함에 따라 14일부터 시작되는 부처별 업무보고를 현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백용호 정책실장 체제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이 관계자는 "이 상황에서 업무보고를 새로운 사람이 받을 수는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예산안 처리가 12월 말까지 늦춰질 경우 지난해와 같이 31일 청와대 참모진 개편과 정부부처 개각을 동시에 단행, 후반기 국정운영의 방향을 잡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또 다른 고위관계자도 "대통령이 청와대 참모진 진용개편에 대한 구상을 하고 있을 수는 있지만 참모진 개편과 관련해 아직 윤곽이 드러난 게 없다"면서 "예산안 통과 이후 인적개편이라고 했으니 예산안이 31일 통과되면 그때까지 미뤄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전날 기획관리실에 정책기획관실을 흡수ㆍ통합시키고, 국민소통비서관실에 `세대공감회의'를 설치하는 내용의 청와대 조직개편을 단행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