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식음료시장] 색깔마케팅 한창

패션시장에나 어울릴 색깔차별화 마케팅이 올 여름 식음료시장에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여름철 매출을 끌어올리기 위해 소비자들의 시선을 최대한 끌어야 한다는 판단에 음료, 라면, 과자 등 식음료업체들이 색깔경쟁에 승부를걸고 있다. 음료업체들은 검은색과 흰색을 `기피 1호 색깔'로 지정하고 노랑, 빨강, 초록,파랑 등 화려한 색상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해태음료는 주스는 빨간색과 노란색, 콜라는 파란색을 각각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신세대를 겨냥한 `와일드 스피드'는 노랑, 빨강, 파랑 등 3가지 색으로 제작해판매중이다. 또 한국야쿠르트의 `뿌요'소다는 파란색, 빨간색, 연두색, 노란색, 보라색 등 5가지 색의 제품, `비트업'음료는 파란색, 빨간색, 녹색 등 3가지 색의 제품이 각각선보이고 있다. 제일제당의 `스피드-업 게토레이'는 노란색, 파란색, 흰색, 녹색, 빨간색 등 5개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라면업계에는 이와는 반대로 `녹색'이 금기대상이다. 이는 한국야쿠르트가 지난80년대 `클로렐라 라면'과 `녹색라면' 이란 이름으로 다자인은 물론 제품까지 녹색으로 제작해 선보였다가 실패하는 등 녹색에 대해 소비자 거부반응이 심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농심(신라면), 빙그레(매운콩라면), 한국야쿠르트(맵시면) 등 대부분라면업체들은 주력제품의 포장색을 `빨간색'으로 통일했다. 특히 빨간색이 강렬한 인상과 매운 맛을 연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비수기인 여름시장 돌파에 기대를 걸고 있다. 과자업체들은 온화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주기 위해 제품이나 포장색으로 검은색을 피하고 연두색, 분홍색, 파란색을 주로 쓰고 있다. 롯데제과는 `텔레토비'스낵 포장색을 이들 3가지 색깔로 치장했다. 해태제과는흰색인 `부라보콘' 제품색깔에 빨간색을 추가했고 지난 5월 나온 빙과제품 `폴라캡'을 파란색으로 제작했다. 과자는 `닙스'스낵 등 노란색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