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복지 100조시대 누수 조장하는 통합전산망

매달 8,000억원의 현금급여를 지급하는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이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이 '복지전달 체계 운영실태'를 감사한 결과 통합망은 전산 시스템에 입력된 급여 대상자의 자격·서비스에 오류가 있는지 찾아낼 수 있는 검증 기능이 없었다. 복지사업 수급자 선정 및 이력관리에 활용되는 통합전산망은 수급자의 자격관리번호(ID) 체계조차 부실했다.


그 결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구의 27.6%인 22만여가구가 가족관계등록부와 다르게 시스템에 등록돼 있었다. 수급자 사망시 통합망에 곧바로 반영하는 연계체계도 미흡해 2010년부터 3년간 사망한 수급자 71만명 중 2.4%가 여전히 생존자로 관리됐을 정도다. 사망으로 지급 정지된 경우에도 8%가량인 32만여명에게 적어도 한달간 640억원의 복지급여가 잘못 나갔다.

관련기사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지방자치단체 사이에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일부 암 환자와 원폭 피해자, 보훈 대상자들에게 의료비본인담액상한제에 따른 환급금 37억여원도 과다 지급됐다. 암 환자의 경우 보험공단이 2009∼2011년 국가로부터 본인부담액을 이미 지원받은 암 환자 3,587명에게 본인부담액 상한 초과금액 22억여원을 과다 환급했다.건보공단 '본인부담액상한제'의 허점 때문이다.

이 같은 감사 결과는 복지예산이 얼마나 허술하게 관리되는지 말해준다. 부처 간 자료공유가 안 돼 잘못 나간 돈도 1,700억원에 달했다. 3년간 새나간 돈은 모두 7,000억원에 이른다. 이렇게 구멍이 많다면 가뜩이나 어려운 재정형편에 엄청난 혈세를 복지예산에 쏟아부을 명분이 떨어진다. 복지비 100조원 시대도 좋지만 복지통합망과 전달체계가 이런 정도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일 수밖에 없다. 시스템을 철저히 보완하고 무사안일하게 통합망을 운영한 책임자를 엄격히 처벌해야 한다. 복지재정은 눈먼 돈이라는 얘기를 언제까지 들을 것인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