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협 업종별 실무협의회 구성

◎세제·금융 등 10개 분야… 매주 회의·업계 의견수렴 나서기협중앙회(회장 박상희)가 기업경영환경의 악화와 본격적인 산업구조조정에 대비, 중소업계의 의견수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협중앙회는 최근 세제·금융·입지·노동·수출·판로등 중기 당면과제를 중심으로 10개 분야 실무협의회를 구성, 매주 회의를 열어 업계의 의견을 듣고 대응방안을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위해 기협은 상근부회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1백70개 회원조합을 업종별로 분류, 분야별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협의회는 중점과제를 3∼4개로 압축해 매주 회의를 통해 의견을 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이같은 계획에 따라 기협은 이미 세제분야 첫 협의회를 열어 업계의견 수렴에 착수했다. 재정경제원의 세제개편 일정이 긴박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중소업계는 이 자리에서 금융·세제 등 구조조정이 강도높게 추진될 것에 대비, 중소업게의 입장을 강력히 전달키로 했다. 기협중앙회와 중기연구원이 중심이 돼 건의안을 만들고 업종별 협동조합이 해당 업종의 의견을 내,내년 1월중에 중기 세제지원 종합건의안을 재정경제원에 제출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고시목 직물연합회 전무는 『정부의 중기지원제도가 점점 줄어드는 만큼 중기에게 꼭 필요하고 실효성있는 부문을 존속시켜 이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구자운 가구연합회 전무는 『특별소비대상 부과품목의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이원호 기협중앙회 부회장은 『IMF자금지원으로 중기지원제도가 갑자기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중기지원 재원확충을 위해 목적세 신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기협중앙회는 현 경제위기상황과 관련 다음달 2일 기협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조합이사장 등 5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난국 극복을 위한 중기인 결의대회」를 열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