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당국, 예보 공동계정에 너무 의존"

저축銀 사태 처리는 탁상행정…공적자금 조성 등 추진을<br>이성남 민주 의원, 친정 금감원에 쓴소리


"저도 과거 금융감독당국에 몸담았지만 당국에서 저축은행 사태를 다루면서 탁상행정이나 임시방편으로 하지 않나 싶습니다." 이성남(64ㆍ사진) 민주당 의원은 24일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금융시장의 근간을 흔들며 시장 전체의 리스크를 키울 수 있는 예보 공동계정을 너무 쉽게 생각하며 문제를 풀려고 한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다시 말해 저축은행 유동성 해법과 관련, 예보 공동계정이라는 꼼수 대신 정공법으로 공적자금 조성과 정부의 예보기금 출연을 강구해야 한다는 게 이 의원의 소신이다. 그는 씨티은행 한국 재정담당 수석을 거쳐 지난 1999년 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금융감독원에서 검사총괄실장ㆍ검사총괄담당 부원장보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이후 국민은행 상근감사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을 거쳐 2008년 4월 민주당 비례대표 1번으로 정계에 입문한 뒤 금융정책의 문제점과 대안에 관해 합리적인 의견을 내왔다. 그런 이 의원은 하지만 친정인 금융당국에 따끔한 일침을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3~4년 전부터 여야 가릴 것 없이 저축은행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확대 등 부실우려를 지적해왔으나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인수합병이나 업권 확대 등을 허용하면서 부실을 키웠다"며 "근본적으로 저축은행을 서민금융사로 키우고 구조조정 등 리스크 관리에 충실했어야 했는 데 소홀했다"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 사태 해법에 관해서도 "목적지향적인 정부여당이 책임론이 부각될 수 있는 공적자금 조성 등의 정석을 피해 은행이나 보험 등 다른 금융권역의 예보 보험금을 가져다가 저축은행 부실을 해결하려는 공동계정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발방지에 대한 확신이나 신뢰를 전혀 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연 8,000억원 남짓의 돈으로 10조원가량을 빌리는 식으로 한도를 높인 '마이너스 통장'을 손쉽게 쓰자는 것인데 자칫 유동적인 금융환경상 다른 업권으로 리스크가 확산될 수도 있고 도덕적 해이를 불러올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또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유동성이 얼마나 들지, 부실규모가 얼마인지, 공동계정을 하면 시스템 리스크 우려가 없는지, 부실책임을 어떻게 물을건지 등에 대해 자료도 안 내놓고 제대로 설명도 안 해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고 혀를 찼다. 그는 마지막으로 "한은의 독립성이 의심 받고 금통위원 한 석도 9개월 넘게 공석으로 있는 등 통화정책의 심장부에도 문제가 있다"며 한은 총재를 포함한 금통위원 선임시 인사청문회 의무화를 담은 한은법 개정안도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