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소비기한 표시제' 빠를수록 좋다

지난 26년간 유지해온 식품의 '유통기한 표시제' 대신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어 관심을 끈다. 결론적으로 말해 소비기한 표시제는 유통기한 표시제에 따른 식품의 무차별 폐기 등 사회적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식품가격 하락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8일 물가장관회의에서 "식품에 대한 현행 유통기한 표시제는 자원의 효율적 활용, 식품ㆍ유통산업 발전, 소비자들의 인식수준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대안으로 미국ㆍ일본 등과 같이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비기한 표시제가 도입될 경우 원자재가 상승으로 오르고 있는 식품가격의 안정에도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사회적 낭비를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행 유통기한 표시제는 유통기한이 판매기한을 의미하는 데도 소비자들은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들을 폐기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우유의 경우 냉장보관만 잘하면 유통기한보다 2∼3일 정도 지나도 위생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유통기한이 곧 소비기한'이라고 오해하는 소비자들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무조건 폐기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식품의 경우 이 같은 유통기한에 대한 오해로 발생되는 반품비용만도 한 해에 6,500억원, 폐기처분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는 19조6,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소비기한 표시제는 이 같은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격인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식품업체들이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폐기하지 않고 어느 정도 가격을 할인해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짧은 유통기한에 여유가 생길 경우 가격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소비기한 표시제의 성공을 위해서는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전제돼야 한다. 식품업체들은 식품의 안전성을 더 높임으로써 소비자들이 소비기한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