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 靑 비서관, 국감장서 폭로-침묵 눈길

盧정부의 박선원 - MB정부의 박영준

전ㆍ현 정부의 전직 청와대 비서관들이 6일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각기 폭로와 침묵으로 대조를 보였다. 노무현 정부 임기 말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했던 박선원 전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전략비서관은 이날 통일부 등을 상대로 한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의 국감에 증인으로 나와 남북정상회담은 물론 한미관계의 비화를 밝혔다. 그는 "(우리 사법당국이) 북한의 달러위폐상을 잡았다는 정보를 입수한 한나라당의 당직자가 이를 미 대사관 고위관리에게 알리고 한국인을 체포하려는 작전을 우리 정보기관이 막은 적이 있다"면서 "우리 사법기관이 주한 미국대사관과 미 재무부에 항의했고 대만과 중국까지 넘어간 달러위폐상 조직을 일망타진해 검찰에 넘겼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에 근무하다 보면 유리벽에서 일하는 것처럼 기밀유지가 굉장히 어려워 기밀누설죄가 강화되지 않으면 안보와 관련한 일을 할 수 없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고 토로했다. 그는 지난 2007년 말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하던 비공식 조직에 자신을 포함해 당시 김만복 국정원장, 문재인 비서실장 등이 참여한 반면 통일부 장관은 배제된 데 대해 "역대 정권의 전통을 따랐다. 박정희 정권 때 이후락을 보내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한편 정무위의 국무총리실 국감에 증인으로 선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은 국무차장 시절 여권 인사와 연루된 의혹을 받는 자원개발사들인 CNKㆍKMDC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을 집중 추궁당했다. 그러나 박 전 차관은 "일반적 수준의 지원"이라고 일축했으며 "은행에 (자원개발사의) 보증을 부탁한 일도 없다"고 답했다. 전날 열린 출판기념회에서 'CNK의 주식을 사지 말라'고 한 일에 대해 "공직자들이 주식을 사서는 안 된다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19대 총선에 출마설이 나도는 그는 주소를 대구로 옮긴 사실에 대해 "고등학교를 대구에서 나왔다" 면서도 "지금은 (총선 출마 여부를)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