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포스트 이석채’ 는 누구…KT회장 인선절차는

이석채 KT 회장이 사퇴 의사를 밝힌 가운데 이 회장의 후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일 정치권과 통신업계 및 KT에 따르면 이 회장의 후임으로 정·재계 출신의 쟁쟁한 인물과 KT 출신인사, 정보기술(IT) 업계 임원 출신들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정계 인사로는 김형오 전 국회의장 이름이 나오는 가운데 새 정부의 핵심 세력인 ‘친박’ 출신 전직 국회의원들도 거론되고 있다.

정계 인사들의 이름이 나오는 것은 KT가 민영화 이후에도 CEO 선임 과정에서 정권의 입김이 크게 작용해온 점이 근거가 되고 있다. 이 회장도 ‘MB사람’으로 낙하산 논란이 있었다.

새 정부의 인사관행을 볼때 지난 대선을 전후로 정보통신 정책 및 공약과 관련해 자문을 해온 의외의 인사가 기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재계에서는 이른바 ‘황의 법칙’으로 반도체 분야에서 유명한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이 거론된다. 황 사장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정상궤도에 올려놓는 등 IT업계를 이해하는 인물이라는 점 때문에 기대를 받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정보통신기술 전문가인 이기태 전 삼성전자 부회장도 거론되는 등 삼성 출신 전문 경영인들의 이름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KT 출신인 홍원표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장도 삼성출신 후보군에 포함돼 거론된다. 홍 센터장은 2002년부터 5년간 KT 휴대인터넷사업 본부장을 지내다 지난 2007년 삼성전자로 자리를 옮겼다.


또 김동수 전 정보통신부 차관, 형태근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도 거론되고 있다.

관련기사



일부 언론은 김종훈 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를 KT 회장 후보로 점치기도 하지만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KT 노동조합은 4일 성명을 내고 “CEO 선임절차는 가장 신속하고 투명하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며 “신임 CEO는 무엇보다 권력과 재벌로부터 자유롭고 사회공공성과 통신비전을 가진 인물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4일 오전 KT 서초사옥에 많은 취재진이 모인 가운데 기자들을 피해 1층 출입구 대신 지하 주차장을 이용해 출근했다.

이 회장의 출근은 3일 임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밝혔듯이 후임 CEO가 정해질때까지 업무를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회장이 실제 이사회에 사표를 제출하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KT 관계자는 “후임 회장이 취임해 업무를 추진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업무를 정리하는 데 시간이 어느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이 사표를 제출하면 이사회가 이를 승인하고, 퇴임일자 기준으로 2주 이내에 사외이사 7명 전원과 사내이사 1명으로 ‘CEO추천위원회’를 구성한다.

CEO추천위원회는 위원장을 제외한 재적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CEO 추천후보를 의결하며, 선정된 후보는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된다.

현재 KT 지분은 국민연금공단이 8.65%, 자사주가 6.6%, NTT도코모가 5.46%, 실체스터가 5.01%, 미래에셋자산운용이 4.99%, 우리사주조합이 1.1%이며 외국인이 43.9%를 차지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