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KMI, “그랜드컨소시엄 상관 없이 다음달 제4이동통신사업 신청할 것”

그랜드컨소시엄에서 KMI 사업계획 모방할 경우 소송도 고려 중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이 최근 출범한 그랜드컨소시엄과 관계 없이 독자적으로라도 다음달 제4이동통신사업을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윤호상 KMI 이사는 14일 서울경제신문 취재진과의 전화통화를 통해 “그랜드컨소시엄 출범과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다음달 제4이동통신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10월께 허가를 받아낼 것”이라며 “이미 80% 수준으로 주주구성을 마쳤다”고 밝혔다. 윤 이사에 따르면 기존 주주였던 씨모텍, 스템싸이언스 등은 이번 주주구성에서 빠지고 자티전자, 이엔쓰리 등이 남게 된다. 특히 그 동안 자금 확보 불확실성을 이유로 사업허가가 반려된 만큼 기존주주들이 금액 규모를 줄이더라도 현실적인 금액 수준에서 참여를 단행할 것이란 설명이다. 윤 이사는 특히 최근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구성한 그랜드컨소시엄에 KMI가 배제된다는 소식으로 사업허가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받고 있는 상황에 대해 적극 항변했다. 윤 이사는 “그랜드컨소시엄은 양 전 장관을 제외하곤 제대로 된 사업계획도 없고, 주주구성도 안돼 있는 껍데기 회사일 뿐”이라며 “만약 양 전 장관이 사업 신청시 KMI에서 구상한 사업계획을 활용할 경우 소송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 전 장관은 지난 달 KMI에 합류했지만 한달도 채 안돼 KMI를 나가 따로 제4이동통신사업을 위한 그랜드컨소시엄을 구성했다. KMI 측은 양 전 장관이 KMI에 머물 당시 공종렬 KMI 대표의 퇴진, 고급차량 지원 등을 요구했고, 이를 받아주지 않자 개인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KMI를 나갔다고 주장했다. 윤 이사는 “KMI의 경우 자본금 확보 등을 위해 지난 2년간 엄청난 노력을 퍼부었음에도 사업허가를 아직 받지 못했다”며 “사업계획을 세우는 데에만도 6개월간 철야 작업을 했는데 윤 전 장관은 무슨 수로 당장 다음달 사업신청을 하겠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밖에 시장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그랜드컨소시엄이 중소기업중앙회나 삼성전자 등과의 연대가 되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덧붙였다. 윤 이사는 “그랜드컨소시엄과 중소기업중앙회의 연대에 대해 확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고, 심지어 양 전 장관은 삼성전자와는 접촉한 적도 없다”며 “제4이동통신사업은 자본금 확보 문제 때문에 중소기업중앙회 독자적으로 추진하긴 어려운 만큼 KMI도 연대 가능성에 대해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주식시장에선 제4이동통신 테마와 관련해 기존 KMI와 더불어 그랜드컨소시엄이란 변수가 나타나면서 서화정보통신, 기산텔레콤, 영우통신, 쏠리테크 등 와이브로 관련주와 자티전자, 이엔쓰리, 스템싸이언스 등 기존 KMI 주주참여기업들의 주가가 연일 널뛰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