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행정·혁신·기업도시 예정지 5년간 땅값 평균 80% 상승

참여정부의 ‘국토균형발전 트로이카’인 행정ㆍ혁신ㆍ기업도시의 영향으로 해당 지역 땅값이 지난 5년간 평균 80%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건설교통부가 김재경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3대 균형발전사업과 관련된 전국 22개 시ㆍ군ㆍ구의 올해 공시지가 총액은 162조원으로 2002년 90조원에서 72조원(80.5%)이나 상승했다. 사업별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충남 천안ㆍ공주ㆍ아산ㆍ연기 등 행정도시와 관계된 4개 시ㆍ군의 공시지가 총액은 5년간 무려 199.7%나 폭등해 65조원에 달했다. 전국 22개 지역 총액 상승분 72조원 중 이들 4개 시ㆍ군의 상승분이 43조원으로 60%를 차지했다. 행정도시 중심지인 충남 연기군은 지가상승률이 288.1%로 전국 최고를 기록했고 충남 아산시가 234.9%로 그 뒤를 이었다. 기업도시 예정지인 6개 시ㆍ군의 평균 지가상승률은 80.5%(혁신도시와 중복되는 강원 원주시는 제외)로 충남 태안(183.3%), 전남 무안(84%), 전북 무주(63.2%) 순이었다. 12개 혁신도시 예정지는 평균 35.6% 상승했는데 충북 음성(84.2%), 부산 강서(66.9%), 충북 진천(65.7%) 등이 특히 많이 올랐다. 울산 중구는 공시지가가 오히려 2.4% 떨어져 22개 지역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