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일본은 왜 미국과의 FTA를 꺼릴까

한미FTA도 실익 구체적으로 제시돼야… 현대硏

일본은 왜 최대 수출상대국인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적극 나서지 않는 것일까. 현대경제연구원은 그 이유가 현재 일본 입장에서 아세안(ASEAN).한국.중국 등과의 FTA에 비해 미국과의 FTA에서 상대적으로 얻을 것이 별로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원이 2일 발표한 '일본은 왜 미국과의 FTA를 꺼리는가'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이미 말레이시아.싱가포르와 경제동반자협정(EPA)을 체결했고 태국.필리핀과도주요 합의에 이르는 등 동아시아국가들과 활발하게 FTA를 추진하고 있으나 수출의 7.9%(작년기준)를 차지하는 미국과의 FTA 교섭에는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다. 연구원은 무엇보다 일본이 이미 미국 시장에서 상당한 영역을 확보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일본 제품은 작년 기준 미국 수입시장의 8%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미(對美) 수출 규모는 캐나다.멕시코.중국에 이어 4위에 올라있다. 또 일본의 주력 수출상품인 자동차 및 가전 부분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현재 0~4%로 매우 낮다는 점도 거론됐다. 일본으로서는 미국과의 FTA보다 이 부문에서 높은 관세율을 고수하고 있는 한국.태국.중국 등과의 FTA에서 보다 큰 관세철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원은 일본이 이 같은 상황에서 미국과 FTA를 체결, 농업.건설.공공서비스등 취약 부분의 개방되면 오히려 전체 경제 후생 수준이 낮아질 수 있다는 일본 내부의 분석 결과를 소개했다. 더구나 일본은 작년 4월부터 발효된 일-멕시코 EPA를 통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회원국인 멕시코에 투자함으로써 미국과의 FTA를 대체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있다고 연구원은 덧붙였다. 이부형 연구위원은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우리나라도 한미FTA의 실익이 다른 지역 및 국가와의 FTA에 비해 얼마나 우월한 지 보다 구체적으로 국민들에게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 농림수산성이 지난해 새로운 '식량.농업.농촌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공격형 농업 정책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한미FTA로 피해가 예상되는 부문에 대한 선제적 방어 노력이 시급하다고 그는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