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5~49세 '핵심생산인구' 첫 감소

2010 인구 총조사 결과<br>5년전 보다 36만여명 줄어


인구감소와 노령화로 핵심생산가능인구가 지난 1949년 인구총조사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핵심생산가능인구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중 경제활동이 가장 왕성한 25~49세로서 이 연령층의 인구감소는 경제활력 저하로 직결된다. 14일 통계청의 '2010년 인구총조사' 결과 지난해 11월1일 현재 내국인 기준 핵심생산층은 1,953만8,000명으로 5년 전 조사시점인 2005년(1,990만5,000명)에 비해 36만7,000명(1.85%) 줄었다. 우리나라의 핵심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를 보인 것은 대한민국 건국 이듬해인 1949년 인구총조사를 실시한 이래 처음이다. 핵심생산가능인구는 수백만명의 인명피해를 낸 한국전쟁 기간에도 줄지 않았다. 1949년 562만5,000명이던 핵심생산가능인구는 1975년 1,012만명으로 처음으로 1,000만명선을 넘어선 뒤 2005년 조사 때 1,990만5,000명으로 늘었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49년 27.9%에서 1980년 31.4%로 30%선을 넘었고 2005년 42.3%로 정점에 달했지만 지난해 처음 비중이 낮아져 40.7%에 그쳤다. 생산주력계층인 핵심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저출산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통계자료가 작성된 1970년 4.53명 이래 감소세를 보여 1.22명으로 떨어졌다. 출산율은 감소하는 데 반해 인구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돼 한때 우리 생산의 주력계층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한 빈자리를 채우지 못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핵심생산층의 감소는 단순히 노동 투입량만 줄이는 것이 아니라 생산성을 낮춰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조세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이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취업자 수 감소로 2009년 4% 중반에서 오는 2020년 3%, 2030년 2%, 2050년 0.5%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