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 100만명 시대를 맞아 정부가 갓 대학을 졸업한 취업재수생을 조기에 노동시장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대책을 내놓는다.
고용노동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12일 "대학을 졸업한 뒤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인력을 대상으로 졸업 후 6개월 이내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알선할 것"이라며 "지난 4월에 내놓은 '일자리 단계별 청년대책'의 미비점도 분석해 다음달 청년 일자리 보완대책에 포함시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고용부와 기획재정부는 지난 대책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우선 고용부는 대졸자에게 맞춤형 일대일 상담을 포함해 취업정보 제공을 확대할 계획이다. 상대적으로 민간 사이트에 의존하면서 고용센터는 찾지 않는 청년들이 많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찾아가는 서비스를 한다는 것이다. 개인별로는 취업지원 계획을 수립한 뒤 직업훈련으로 역량을 높이고 잘 알려지지 않은 강소기업들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하겠다는 구상도 담겨 있다.
졸업 후 6개월이 지나야 참여할 수 있던 취업성공 패키지 프로그램도 졸업 후부터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취업성공 패키지 예산은 올해 548억원에서 내년 1,406억원으로 대폭 늘려 잡았다.
아울러 고용부는 대학과도 협력해 학교에서 진로지도나 취업지원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고용부의 다른 한 관계자는 "불필요한 스펙을 쌓는 데 매달리지 말고 자기가 목표로 하는 분야에 대해 꾸준히 전문성을 길러야 하는데 이러한 내용을 가르쳐 주는 데가 없어 학생들이 입학 후 막연하게 토익 준비부터 시작하는 현실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노동시장에 대한 상담으로 본인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가 이 같은 대책을 마련하는 배경은 박근혜 정부 들어 추진한 청년 일자리 정책이 대부분 고졸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대학 졸업생은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예전과 달리 영업과 마케팅 분야에서도 이공계를 우대하면서 인문계 졸업자들의 설 자리가 점차 줄어드는 실정이다.
취업 재수생과 삼수생 등 대졸 이상 실업자 40만명을 포함해 졸업예정자까지 더하면 내년 취업준비생은 역대 최대인 1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고용시장이 얼어붙어 기업들은 신규 채용에 보수적인 입장이다. 한국은행은 내년 신규 고용이 45만명으로 올해(50만명)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결국 자칫 대학을 졸업하고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직장을 잡지 못할 경우 장기적으로 구직 포기나 구직 재수로 남을 가능성이 큰 데 따른 고육책인 셈이다. 청년층의 최초 취업시기는 2004년 22.5세에서 2010년 23.3세, 2013년 23.5세로 점차 늦어지는 추세다.
그렇지만 실제 효과에 대한 의문을 갖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는 게 과제다. 직접적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힘들어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되지 않고 저성장으로 인해 민간의 고용창출 여건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까닭이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의 한 관계자는 "신입직은 졸업하고 1년이 지나면 사실상 힘들다고 봐야 한다"며 "본인이 역량만 갖추면 기회가 많은 사회 분위기여서 대기업에 취직하기 위해 재수·삼수를 하기보다 알짜 중소·중견기업에 입사해서 경력을 쌓는 것이 훨씬 낫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