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동북아 석화산업, 북미·중동과 협력이 생존 열쇠"

방한홍, 한화케미칼 대표<br>"셰일가스·고유가로 위기 직면… 다양한 기술제휴 등 혁신 필요"


방한홍 한화케미칼 대표가 셰일가스 등으로 인한 석유화학 산업변화를 예고하며 북미 및 중동 지역과의 협력을 생존의 열쇠로 제시했다.


방 대표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8차 걸프석유화학연맹(GPCA) 연례 포럼에서 진행한 ‘파트너십을 통한 혁신’이라는 주제 연설에서 “동북아 석유화학 산업은 셰일가스 개발, 고유가로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어 혁신이 필요하다”며 “지난 10년간 나프타 기반의 동북아 업체는 고유가로 수익성이 줄어든 반면 저렴한 셰일가스를 이용한 북미지역의 에탄가스 기반 업체는 원가경쟁력이 향상되어 왔다”고 설명했다. 방 대표는 이어 “향후에는 나프타 크래커(cracker)에 비해 에탄 크래커가 원가 우위에 있음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중동, 북미 등 원료부문의 경쟁력이 높은 지역으로 진출함에 있어 현지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원가절감은 물론 다양한 기술제휴 사업 등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한화케미칼은 실제 2009년 이후 중동지역 진출 이후 현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당시 사우디아라비아의 시프켐과 합작을 통해 IPC를 설립했으며 내년 1분기부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를 연간 20만t 규모로 생산할 계획이다.

방 대표은 이날 연설에서 김승연 한화 회장 주도로 추진한 신사업인 태양광산업과 관련 “내년부터 공급 과잉 현상이 해소되고 수요의 꾸준한 성장으로 시황 회복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이번 포럼은 중동지역 8개 석유회사가 2006년 창립한 GPCA의 연례 포럼으로 올해는 11월 19일부터 21일까지 두바이에서 다우, 엑슨모빌 등 전세계 석유화학 업체에서 1,500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