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車 빅3 CEO 물러나야"

오바마·도드 상원 위원장등 정치권 거센 압박<br>공적자금 투입 부정적 여론 무마용인듯

그리스 아테네에서 터진 경찰에 대한 항의 시위로 7일(현지시간) 포드 자동차 대리점이 불타고 있다. 아테네=AFP연합뉴스

미국 민주당과 백악관이 자동차 '빅3'에 대해 150억 달러 규모의 긴급 자금 대출에 합의한 가운데 자동차 경영진 교체를 요구하는 정치권의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나랏돈으로 부실 회사를 구제하는 데 대한 부정적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공적 자금이 투입된 패니매와 프레디맥, AIG등 금융기관 경영진도 교체된 바 있다. 민주당 소속 크리스토퍼 도드 상원 금융위원장은 7일(현지시간) CBS방송에 출연해 "자동차회사에 정부 자금이 지원되면 새 경영진이 들어서야 한다"며 "왜고너 GM회장은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도드 위원장은 '구제금융 지원의 전제 조건으로 경영진의 교체를 명시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구제 금융법안에 포함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해 지원 법안에 경영진 교체 요구를 담을 것임을 시사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자동차 경영진이 경영 실패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바마 당선인은 NBC방송에 출연해 도드 위원장이 왜고너 회장의 퇴진을 주장한데 대해 "의회는 바른 길로 가고 있다"며 퇴진 압력에 힘을 보탰다. 오바마는 "변화를 모르고 실패를 해온 자동차 경영진은 물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동차 산업의 본고장 미시건의 칼 레빈 상원의원도 "자동차 업계에는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경영진 교체에 동의했다. 이에 대해 GM측은 "왜고너 회장이 지금과 같은 위기의 때에 GM을 이끌 수 있는 사람이라고 확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