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원부국펀드 수익률 뜀박질


최근들어 원자재가격이 급등하면서 자원보유국에 투자하는 펀드의 수익률이 뜀박질을 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이 경기회복세 둔화를 막기 위해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품시장과 자원보유국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으로 일주일간 러시아펀드의 수익률은 4.54%로, 해외펀드 중 가장 높았다. 러시아펀드 외에도 자원보유국이 포함된 중남미펀드와 EMEA(동유럽ㆍ중동ㆍ아프리카) 등의 수익률이 두드러졌다. 러시아가 포함된 신흥유럽펀드의 경우 이 기간 수익률은 4.53%였고, 중남미펀드(3.51%), EMEA펀드(3.15%), 브라질펀드(2.48%) 등도 높은 편이었다. 반면 신흥국 펀드 가운데 지금까지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보이던 아시아신흥국은 수익률이 다소 뒤쳐진 모습이었다. 신흥아시아펀드(2.02%),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퍼시픽펀드(1.09%) 등은 1~2%대 상승률을 보였다. 자금흐름을 봐도 신흥시장 내에서 자원보유국으로의 자금유입은 더 강해진 모습이었다. 현대증권과 해외 뮤추얼펀드조사기관 EPRF에 따르면 최근 1주간 글로벌 자금은 신흥시장 중에서도 브라질ㆍ러시아ㆍ인도네시아ㆍ남아프리카 등 자원보유국으로 몰린 반면, 아시아 신흥국으로의 자금유입은 5주 만에 둔화됐다. 특히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6일까지 글로벌이머징마켓(GEM) 펀드군에서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된 것은 라틴아메리카펀드(10억6,400만 달러)였다. 유수민 현대증권 연구원은 “최근 2주간 국제원유 등 상품가격이 전반적인 상승세를 지속했고, 달러약세 영향으로 상품시장이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커 라틴아메리카와 EMEA펀드로의 글로벌 유동성 순유입세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별 펀드로 보면 최근 러시아펀드의 수익률이 가장 두드러졌다. 펀드설정액 규모가 가장 큰 JP모건자산운용의 ‘JP모건러시아펀드A’가 일주일간 4.63% 수익을 올렸고, 수익률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러시아업종대표펀드1종류A’가 5.28%로 제일 높았다. EMEA펀드 중에선 피델리티자산운용의 ‘피델리티EMEA펀드A’가 3.22%, 브라질펀드 중에선 KB자산운용의 ‘KB브라질펀드A’가 2.96%의 주간 수익률을 기록했다. 원자재 가격이 뛰면서 원자재에 투자하는 섹터펀드의 수익률도 상승세로 접어들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주일간 원자재 관련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는 3.35%, 천연자원펀드는 3.60% 등의 수익을 올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