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차 '글로벌 톱' 전략 차질"

정몽구 회장 장기간 구속으로… 뉴욕타임스 보도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의 장기간 구속이 ‘글로벌 톱(top ranks of global automakers)’으로 발돋움하려는 현대차의 전략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1일 보도했다. NYT는 이날자 신문에서 “세계 5대 자동차 제조업체로 도약하려는 현대차의 ‘도전(quest)’이 정 회장의 법적인 문제(legal troubles)로 인해 복잡하게 꼬이고 있다”며 작은 흠집 하나까지 챙기며 개선하는 정 회장 특유의 ‘품질경영’이 지금과 같은 ‘옥중경영’으로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NYT는 또 정 회장 구속 이후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과 자회사인 기아자동차의 미국 공장 건설 등 중요한 계획들이 잇따라 연기됐고 미국 내 딜러들도 현대차의 전반적인 방향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현대차가 그동안 공격적인 신차 발표와 미국 현지공장 가동 등을 통해 세계 주요 자동차업체 가운데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지만 정 회장의 구속 이후 지난해에 이어 두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NYT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점은 정 회장이 그동안 뿌려놓은 품질경영의 씨앗이 결실을 보고 있는 점”이라며 “이에 힘입어 현대차는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JD파워가 실시한 2006년 신차 품질조사에서 도요타를 제치고 3위에 올라 세계적 수준을 인정받았고 올 들어 지난달까지 미국 내 판매량이 4.5% 증가하고 미국 시장점유율이 3%대에 근접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NTY는 “이처럼 세계적 자동차로 발돋움하려는 현대차의 노력이 하나 둘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정 회장의 구속은 분명 악재로 작용할 것임에 틀림없고 장기화될 경우 심각한 혼란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스콧 핑크 미 현대차 딜러협회 회장은 “정 회장 구속이 현재까지는 판매감소로 이어지고 있지 않지만 자동차 판매업자로서 회사의 전반적인 방향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