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 주식비중 1%P 늘면 배당 1% 증가

자산 증가율은 0.09~0.25%P 감소시켜외국인 투자자 영향력 완화 장치 필요

외국 주식보유 비중이 1%포인트 늘어나면 배당금은 추가로 1% 증가하고 배당성향과 배당총액도 각각 0.7%포인트와 0.7%가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국인 주식보유비중이 1%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고정자산 증가율은 0.09%포인트, 유형자산증가율은 0.25%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9일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150개 기업의 1998~2003년중 외국인주식 보유비중과 배당액 등을 분석해 내놓은 `외국인 주식투자가 국내기업의 성장에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외국인 주식보유비중의 증가가 고배당 압력으로 작용, 추가로배당을 늘리고 투자를 감소시키고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연도별로는 1998~1999년의 경우 외국주식보유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할 때 배당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었으나 2000년들어 배당성향과 배당총액을 각각 2.3%포인트와 1.1% 늘리는 등 2000년 이후 외국 투자자들의 배당압력이 확대됐다. 특히 2002년에는 외국인 주식보유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할 때마다 배당성향은 0. 2%포인트, 배당금은 1.2% 증가했고 2003년에는 배당성향은 0.9%포인트, 배당금은 0. 9%, 배당총액은 1.1%씩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외국인 주식보유 비중 증가에 따른 고배당 압력은 실증분석 결과 산업별 특성에 관계 없이 투자 회수 차원에서 무차별적으로 행사되고 있어 산업의 구조조정 역할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이에따라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국내 기업들이 경영권 방어를 위해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 등에 추가 비용을 들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 자본으로 구성되는 사모투자펀드의 경우도 투자이익을 극대화하려 한다는점에서 고배당이나 설비투자의 축소를 요구할 수 있으므로 기업과 경제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도의 틀을 정비해야 한다고 연구소는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