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윤회씨 서울경제 인터뷰] 정윤회-조응천 '진실공방' 3대 쟁점

① 청와대 문건 과연 조작됐나<br>② 누가 유출했나<br>③ 내용 진위여부

이른바 '비선 실세' 논란을 불러일으킨 '정윤회 국정 개입 의혹' 사태를 둘러싸고 진실공방이 격화되고 있다. 문건 공개 후 사건의 핵심 당사자인 정윤회씨와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은 각자 언론을 통해 자기의 주장을 쏟아내고 있다. 두 사람의 '진실게임' 양상으로 치닫는 이번 사건의 논란이 되는 부분을 서로의 주장을 통해 정리했다.

◇청와대 문건의 조작 여부=현재까지 문건과 관계된 당사자들의 주장을 종합하면 문제의 문건은 청와대 전 행정관인 박모 경정이 지난 1월6일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박 경정도 문건 제작에 대해서는 부인하지 않고 있다.

문제는 문건의 조작 여부다. 조 전 비서관은 정윤회 문건의 내용에 대해 2일자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맞을 가능성이) 6할 이상이라고 본다"면서 "내용이 실제 (정씨와 소위 십상시의) 모임에 참석해 얘기를 듣지 않았으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자세한 것이었다. 박 경정이 작문했겠는가"라고 말했다.


반면 정씨는 문건을 "싸구려 음모론"이라면서 "민정수석실에서 조작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정씨는 지난달 29~30일 박 경정과 통화한 사실을 공개하며 "박 경정에게 따졌더니 '위에서 지시한 대로 타이핑만 했다'고 하더라"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문건 유출 누가?=청와대는 박 경정이 유출했다며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지만 조 전 비서관은 "지난 5~6월 민정(수석실)에 올라간 한 문건에는 박 경정이 아닌 제3자가 범인으로 지목돼 있다"고 말했다. 조 전 비서관은 "박 경정이 박지만 EG그룹 회장과 관련해 자신이 작성했던 문건만 출력해 들고 나갔다고 하더라"라고 덧붙였다. 이는 "문건 유출은 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는 박 경정의 말과 일치한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들은 "청와대 문건을 제3자가 외부로 유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박 경정이 유출한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시사하고 있다.

◇문건 내용의 진위 여부=당초 청와대가 '찌라시'라고 주장한 문건 내용의 진위 여부도 관심이다. 청와대는 시중에 떠도는 정보를 모은 수준이라면서도 문건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문건 유출 이후 소위 청와대 내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는 3명의 비서관(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은 해당 문건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고 청와대 역시 문건 유출에 대해서만 '국기문란행위'라며 강경 대응했을 뿐이다.

문건의 당사자인 정씨 역시 "2007년 대선을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됐다. 대통령은 물론 3인 측근 비서관들과는 아무런 연락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조 전 비서관은 4월 이재만 비서관이 정씨의 전화를 받으라고 했다면서 정씨와 비서관 3인이 연락을 주고받았음을 시사했다.

이를 종합하면 문건의 작성부터 유출, 정씨와 청와대 비서관 3인의 만남, 정씨 혹은 문고리 3인방 등 이른바 '십상시'의 청와대 인사 개입설 등은 현재까지 양측의 주장이 정면으로 배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청와대는 결국 모든 것이 검찰의 수사를 통해 밝혀져야 할 부분이라고 한발 물러선 모양새다. 수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정씨와 조 전 비서관의 진실게임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사실 여부는 무엇보다 정씨와 조 전 비서관의 대질조사 등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