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558만 vs 137만원

남북한 1인 총소득 19배 차이

지난해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이 137만1,000원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의 2,558만9,000원과 비교하면 19배 차이 난다.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1.3% 증가해 2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2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국민총소득(명목GNI)은 33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우리나라(1,279조5,000억원)와 비교하면 38분의1에 불과하다. 북한의 1인당 GNI는 137만1,000원으로 19분의1이었다.

지난해 북한의 실질GDP는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지난 2008년 3.1%를 기록한 후 ▦2009년 -0.9% ▦2010년 -0.5%로 뒷걸음질치다 2011년(0.8%)부터 2년째 성장세를 지속했다. 우리나라는 2009년(0.3%) 0%대 성장을 기록한 후 ▦2010년 6.3% ▦2011년 3.7% ▦2012년 2.0% 등으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


지난해 북한 제조업은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식료품ㆍ담배 생산이 크게 늘며 경공업이 4.7% 늘었고 중화학공업은 화학제품ㆍ운수장비 덕에 0.2% 증가했다.

관련기사



농림어업은 3.9%, 광업은 0.8% 늘었다. 전기가스수도업은 수력ㆍ화력발전이 늘면서 1.6% 증가한 반면 건설업은 도로ㆍ토목건설이 줄어들면서 1.6%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정부서비스(-0.2%)가 빠졌지만 운수 및 통신, 소도매 및 음식숙박 등이 늘어 0.1% 늘었다.

북한의 산업구조는 광공업(35.9%), 서비스업(29.4%), 농림어업(23.4%), 제조업(21.9%) 등으로 이뤄졌다. 수출과 수입을 합한 대외교역(남북교역 제외) 규모는 68억1,000만달러로 전년대비 4억5,000만달러 확대됐다. 수출은 38억8,000만달러로 3.3% 늘고 수입은 39억3,000만달러로 10.2% 급증했다. 남북교역 규모는 전년보다 15% 늘어난 19억7,000만달러였다. 개성공단 반출입이 99.5%로 대부분이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