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교등급제 충격] 어떤 방법 사용했나

'강남·특목고'에 '교묘하고 노골적인' 후한 점수

교육인적자원부는 `고교등급제' 실태조사에서 적발된 연세, 고려, 이화여대 등 3개대가 방법과 결과는 달랐지만 특정지역이나 특정고교 출신자에게 `교묘하지만 노골적으로' 후한 점수를 준 것은 같았다고 설명했다. 교육부가 실태조사를 벌인 대학들의 공통된 특징은 고교 교사들이 작성한 내신성적에 대한 불신으로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평어 또는 석차)의 실질반영률이 매우 낮은 점. 실질반영률은 고려대 1.72%, 서강대 4%, 성균관대 2.54% 등에 불과했으며 연세대는 대학측이 밝힌대로 학생부 상위 1%와 10%인 수험생의 점수 차이가 60점 만점에0.79점이었다. 반면 서류평가나 논술.면접이 당락에 미치는 영향력이 결정적으로 컸다.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는 지원자 출신 고교의 최근 3년간 입학자수나 수능성적 등을 `보정점수'를 부여(고려)하거나 고교별 참고자료를 활용(연세,이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형에 반영했다. 6개대 가운데 연세대, 이화여대를 제외하고는 지역별.고교유형별 합격자 분포가크게 편중되지는 않았다. ◆고려대 = 석차백분위와 평어 12.5%씩 학생부 25%와 서류평가 5%, 논술 70%로전형을 실시하면서 지원자 출신 고교의 최근 3년간 진학자수와 수능성적, 재적수 등을 고려해 석차백분위와 서류평가 점수에 이른바 `보정점수'(0~1점)를 추가했다. 그러나 보정점수 자체의 실질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보정점수'가 반영된 전형 결과에서도 고교의 유형별.지역별 편중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전형과정에서 일부 고교 출신에 `+α' 점수를 줬지만 결과에는 거의 반영되지 않은 것. 이에 따라 전체 지원자의 보정점수를 반영한 석차백분위 분포가 11.5~12.5점이가장 많고 10.5~11.5점, 9.5~10.5점, 9.5~10.5점, 8.5~9.5점, 7.75~8.5점 순으로 배열됐으며, 이같은 배열은 강남과 비강남, 지방(경기 포함) 관계 없이 엇비슷했다. 강남은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소재 고교 출신이다. 합격자 422명의 지역별 분포도 강남은 18.2%로 비강남(33.2%), 지방(34.1%)보다낮았고, 다만 특목고생의 비중이 14.5%로 다른 대학보다 높았다. ◆연세대 = 1단계에서 학생부 60%와 서류평가 20%를 반영, 2배수 가량을 선발한뒤 2단계에서 면접.구술 20%를 더하는 전형방식을 취했다. 서류평가는 기초서류평가(15%)와 종합서류평가(5%)로 이뤄졌는데 기초서류평가에서 최근 3년간 고교별 지원자수와 입학자수, 내신성적 차이 등을 정리한 자료를참고자료로 제공해 활용했다. 따라서 고교 유형별.소재지별로 일정한 경향의 평균점수 분포를 보였는데, 특히서울 소재 특목고 출신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기초서류평가 점수의 지원자별 분포를 보면 서울 특목고생은 115명의 지원자 가운데 114명이 80~100점, 1명이 60~80점을 받을 정도로 `후하게' 대접받은 반면 지방특목고생은 111명의 지원자 중 65명이 80~100점을 받았으나 7명은 40~60점, 19명은20~40점, 나머지 20명은 0~20점을 받을 정도로 들쭉날쭉했다. 강남권 출신은 593명의 지원자 중 18명이 80~100점, 529명이 60~80점을 받은 반면 비강남권 출신은 1천524명의 지원자 중 80~100점을 받은 학생은 단 1명, 지방 출신은 2천232명의 지원자 중 80~100점을 받은 학생은 24명 뿐이었다. 그러나 같은 학교라도 강남 A고 출신은 최고 79점, 최저 10점을, 비강남 B고 출신은 최고 58점, 최저 10점을, 그리고 지방 C고 출신은 최고 100점, 최저 35점을 받는 등 점수 편차가 커 고교별로 획일적으로 평가점수를 부여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최종 합격자(383명)의 분포는 강남권 35.3%, 비강남 35.5%, 지방 20.4%, 특목고8.9%였다. ◆이화여대 = 학생부 60%와 서류평가 20%를 합산, 1단계에서 4배수를 선발한 뒤2단계에서 면접.구술 20%를 더했다. 서류평가는 자기소개서 평가(10%)와 학업증빙서류 평가(10%)로 이뤄졌으며 자기소개서 평가에서 최근 3년간 고교별 대학 합격현황과 입학자 성적 등을 정리한 참고자료를 반영했다. 그 결과 고교 유형.지역별로 일정한 점수대가 뚜렷하게 형성됐으며 서울 특목고와 지방 특목고, 서울 강남지역 등이 후한 점수를 받았다. 서울 특목고의 경우 32명의 지원자가 90~100점 1명, 80~90점 31명이었으며 지방특목고는 76명의 지원자가 80~90점 39명, 70~80점 20명, 60~70점 17명이었고 강남은503명의 지원자가 70~80점 360명, 60~70점 143명이었다. 반면 서울 비강남은 1천165명의 지원자가 70~80점은 37명에 불과했고 60~70점은1천127명에 달했다. 이화여대는 특히 자기소개서 평가점수가 50~100점인데도 같은 고교 출신의 최고점과 최저점 차이는 1.25~1.5점에 그칠 정도로 `거의 같은' 점수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특목고인 A고는 82.75~84점, 강남 B여고는 72.75~74.25점, 비강남 C고는67.75~69점이 주어진 것. 그러다보니 합격자(355명) 가운데 강남 출신이 36.1%, 특목고생이 20.3%로 높았고 비강남은 17.5%, 지방은 26.2%였다. ◆기타 대학 = 성균관대는 일반전형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13명을 선발한 리더십 특기자전형에서 고교별 입학실적을 평가요소로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영률이 1%로 낮고 합격자도 강남 1명, 강북 4명, 기타 8명 등으로 고르게 분포돼 시정 요구 및 기관경고 조치만 내려졌다. 서강대는 학생부 실질반영률이 낮고 서류전형도 최고 100점에서 최하 99.8점으로 그 차이가 0.2점에 불과했으며 전공구술.면접에서도 고교별로 비슷한 평균성적을보였다. 한양대는 전공적성검사의 경우 객관식 검사로 운영되고 심층면접은 수험생 수험번호와 성명을 제외한 개인정보는 평가위원에게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3개대 최종 합격자 분포는 강남 8.3~12.6%, 비강남 27.3~31.8%, 지방 48.2~60.1%, 특목고 4.3~8.1%였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