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집트도 '30년 철권통치' 무너지나

튀니지 시민혁명의 물결이 장기 철권통치를 이어온 이웃 이집트도 완전히 덮어버렸다. 25일(현지시간) 이집트에서는 30년간 권좌를 지켜온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과 정치ㆍ경제 개혁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대와 경찰 등 4명이 숨진 이날 시위에 이어 반정부 단체들이 26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시위 재개를 부추기자 이집트 정부는 서둘러 시위 금지령을 선포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25일 이집트의 수도인 카이로와 수에즈, 알렉산드리아 등 주요 도시 곳곳에서 시민 수만 여명이 일제히 정권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경찰의 날’인 이날 이집트 시민들은 “현 정부는 불법이다. 현 대통령은 불법이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최루탄과 물 대포로 맞선 경찰과 물리적으로 대치했다. 이 과정에서 각각 시민 3명과 경찰 1명이 숨지고 250여명이 부상당했으며 구금자들도 200여명에 달했다. 정부는 26일 반정부 성향의 단체들이 시민봉기의 지속을 촉구하고 나서자 트위터 등의 사용을 금지했고 주요 시내에는 경찰 병력을 대규모로 배치해 시민 움직임을 통제하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강력한 억제로 이집트 국민들의 시위는 일단 잠잠해졌다. 하지만 이집트 국민도 튀니지처럼 오랜 독재정치와 심각한 경제난 등을 바탕으로 한 뿌리깊은 불만을 품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사태 흐름은 단정할 수 없다는 분석이 많다. 이와 관련, 이번 시민 봉기가 오는 9월 이집트 대선을 앞두고 향후 선거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최대 관심사이다. 이번 대선에서 무바라크 대통령이 6선 도전에 또 나설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아들인 가말 무바라크 현 집권 국민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에게 권력을 물려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집트 국민들은 25일 시위에서 “가말, 이집트 국민은 당신을 싫어한다고 아버지에게 말하라”는 구호를 외치는 등 아들로의 권력승계도 독재정권 연장으로 보고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미국 등 국제사회는 이집트 국민의 민주주의 운동에 지지를 밝히면서도 폭력 사태에는 우려를 표명했다. 미 백악관은 26일 성명에서 이집트가 정치와 경제, 사회적 개혁을 추구할 기회이자 국민의 열망에 부응할 중요한 계기를 맞았다며 현 정부를 압박했다. 미셸 알리오-마리 프랑스 외무장관은 “모든 나라에서의 민주주의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지지한다”면서도 이번 시위로 사망자가 발생한 것에는 유감을 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