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황교수 논문 데이터 조작 개입 흔적 포착

검찰, 김선종연구원 '섞어넣기' 수사<br>'줄기세포 주입 쥐'서 인간DNA 미검출

`줄기세포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7일 황우석 교수와 박종혁ㆍ유영준 연구원이 2004년 사이언스 논문의 데이터 조작에 관여한 흔적을 포착,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들은 서울대 조사위에 의해 처녀생식으로 밝혀지기는 했지만 줄기세포(NT-1)가 수립됐다고 믿었기 때문에 DNA분석 등에서 체세포와 NT-1의 DNA가 일치하지 않은것으로 나왔더라도 중간 처리과정에서 `사소한 실수'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해 데이터 조작을 감행한 것으로 검찰은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다음 주중 황 교수를 출석시켜 박종혁ㆍ유영준 연구원 등에게 줄기세포1번의 데이터 조작를 지시했는지 등을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검찰은 또 2005년 논문과 관련, 황 교수팀의 줄기세포 2번과 3번(NT-2,3)이 DNA검사 결과에서 미즈메디의 수정란 줄기세포 4번과 8번(MIZ-4,8)으로 나오게 된 경위에 대해서는 줄기세포 배양을 맡았던 김선종 연구원이 설명해야할 부분이라고 보고있다. 이에 따라 검찰은 다음주 초 김선종 연구원을 소환, 수정란 줄기세포를 황 교수팀의 줄기세포 2, 3번 배양용기에 `섞어넣기'를 했는지와 황 교수 등 다른 핵심 연구자들과 공모는 없었는지 등을 캐물을 예정이다. 검찰은 또 2005년 1월 9일 2∼7번 줄기세포가 고의로 오염되는 사고가 발생했을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김선종 연구원을 상대로 이 부분에 대한 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그러나 검찰은 "아직까지 오염사고가 고의였다는 증거는 확보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황 교수팀이 줄기세포 주입 실험을 했던 실험용 쥐의 DNA를 분석한결과 인간 DNA는 따로 검출되지 않았다고 이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쥐의 세포가 주입된 줄기세포를 먹어버리는 현상이 생겨 검출이안됐다. 기록상 황 교수팀이 실험을 했던 것은 확실한데, 쥐 실험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황 교수팀이 작년 3∼8월께 실험용 쥐 100여 마리의 척추를 손상시켜 이중 50마리에 줄기세포 1, 2번(NT-1번과 2번)을 주입하는 실험을 한 사실을 확인, 이달 1일 샘플 10마리를 가져와 유전자분석을 실시했다. 검찰은 이날 이미 한차례 이상 소환 조사를 했던 논문 공동저자 9명을 포함, 모두 11명을 출석시켜 줄기세포 조작과 관련한 사실관계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