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기하락 지속…둔화세는 진정 기미

출하는 98년 11월이후 첫 감소세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기 하락세가 올해들어서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둔화세는 다소 약화돼 경기 하락이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낙관론도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중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산업생산,소비,투자 등 실물경제지표는 국내 소비 및 투자 부진,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폭설 등의 영향으로 증가율 둔화세가 지속됐다.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0.1% 증가,지난해 9월이후 5개월째 증가율이 둔화됐고 출하는 1.9% 감소,지난 98년 11월 이후 26개월만에 처음으로 전년동월 대비 감소율을 기록했다. 재고는 내수부진으로 16.5% 늘었고 이에 따라 재고율도 84.3%로 전월의 83.2%보다 높아졌다. 소비측면에서 볼 때 도.소매판매는 설 특수 덕분에 소매업 매출은 증가했지만 판매일수 감소로 인해 자동차와 도매업이 부진한 바람에 1.2% 증가에 머물렀고 내수용소비재 출하도 22.2% 줄어 감소폭이 확대됐다. 투자측면에서는 설비용기계 내수출하가 7.7% 줄어 99년 2월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전환됐고 국내건설 수주는 32.1% 감소,99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현재의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3으로 전월의 99.2보다 낮아졌고 향후 경기전망을 보여주는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도 -1.1에서 -2.1로 악화됐다. 하지만 생산과 소비,투자 모두 단기적 측면에서는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고 있다. 산업생산이 반도체 수출의 회복으로 전월대비 1.0% 증가,두달 연속 마이너스에서 벗어났고 제조업평균가동률이 73.9%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건축허가면적도 주거용 및 공업용 건축허가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5.4% 늘어 지난해 9월이후 4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박화수(朴華洙)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단기적으로는 경기하락세가 진정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면서 '그러나 앞으로 3개월 가량 더 지켜봐야 정확한 추세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