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남북, 국군포로·납북자 논의 난항

제7차 남북적십자회담 이틀째인 22일 남북은 국군포로와 납북자 생사확인 방식에서 견해차를 보여 난항을 겪었다. 그러나 6.15 남북공동선언 6주년을 계기로 남북 이산가족 각각 200명이 참여하는 특별 대면상봉 행사를 개최하는 데 의견접근을 이뤘다. 남북은 이날 오전 회담장인 금강산호텔에서 수석대표 및 대표접촉을 잇따라 가졌지만 국군포로와 납북자 생사확인 방식에서 입장 차이를 보였다. 남측은 이날 접촉에서 국군포로와 6.25 전쟁 이후 납북자 생사확인을 위한 단초를 이번 회담에서 마련한다는 방침으로, 북측에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생사확인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북측은 기존 이산가족 상봉행사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자 가족을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생사확인과 상봉이 진행된 만큼 기존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측은 이번 회담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에 대해 대화 자체를 거부하던 기존의 완강한 태도에서 다소 신축적인 자세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남측은 또 이날 접촉에서 1년에 2~3차례 열렸던 이산가족 대면상봉을 3개월에 한차례 정도씩 정례화하는 방안을 촉구했다. 이산가족 화상상봉의 경우 매월 2차례씩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북측은 6.15와 8.15를 계기로 이산가족 화상상봉 행사를 2차례 실시하고 대상자도 기존 40명에서 60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의했다. 또 6.15를 계기로 특별상봉행사를 개최하자고 제안했고 남측도 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성사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행사 정례화에 대해서는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산가족 서신교환과 관련, 남측은 생사가 확인된 이산가족이 매주 판문점을 통해 편지나 선물을 교환하고 화상상봉 장비를 이용해 서신을 교환하는 방안도 제의했으나 북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남측은 또 대규모 이산가족 생사확인을 제안했다. 이산가족 종합센터에 등록된 이산가족은 12만명이고 이중 생존한 사람이 10만2천명이다. 회담 관계자는 "북측의 능력을 감안해 일괄적으로 명단을 주고 차례대로 통보받는 방식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측은 또 국가보안법이 이산가족 생사확인작업의 장애요인이라며 "국가보안법을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담 관계자는 "북측이 기존에 주장했던 국보법 철폐 논리를 되풀이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우리는 최근 제정된 남북관계발전법 등을통해 이를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남북은 23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