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올림픽 첫金 "이보다 더좋을수 없다"

칠레, 테니스 男복·단식 우승…이스라엘 男요트·도미니카 男육상서 꿈 이뤄

‘짜릿한 첫 경험.’ 한 대회에서 수십 개의 금메달을 챙기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근대 올림픽 108년 사상 단 한 개의 금메달을 만져보지 못한 나라도 부지기수에 이른다. 참가에 의의를 두는 게 올림픽 정신이라지만 좋은 성적으로 자신과 국가의 명예를 드높이기를 바라는 것이 인지 상정. 때문에 매 대회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따낸 나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27일 현재까지 칠레와 이스라엘, 도미니카공화국, 타이완 등 4개국이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리스트 배출 국가’가 됐다. 특히 108년을 기다려온 칠레의 감격은 각별했다. 1896년 1회 아테네올림픽부터 참가한 칠레는 지난 22일 테니스 남자복식에서 니콜라스 마수-페르난도 곤살레스조가 예상치 못한 금메달을 따내 ‘1세기’가 넘는 도전 끝에 금메달의 꿈을 이뤘다. 마수는 이튿날 남자 단식에서도 금메달을 거머쥐어 2관 왕의 영예까지 안았다. 첫 금메달 소식에 칠레는 감동의 도가니가 됐다. 수도 산티아고 중심가의 광장에서 대형 스크린으로 경기를 지켜보던 8,000여명의 칠레인들은 서로 얼싸안고 춤을 추며 ‘금메달 한’을 마음껏 풀었다. 리카르도 라고스 칠레 대통령은 “올림픽 시상대에 칠레 국가를 처음으로 울려 퍼지게 한 그들은 칠레의 젊은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었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이스라엘도 52년 헬싱키올림픽 출전 이래 52년 만에 ‘금메달 가뭄’에서 벗어났다. 지난 26일 요트 남자 미스트랄급에 출전한 갈 프리드먼이 처음으로 조국에 금메달을 안겨 준 것. 이스라엘 모셰 카차브 대통령도 즉시 전화를 걸어 “이스라엘의 자랑”이라며 기쁨을 나타냈다. 27일에는 도미니카공화국과 타이완이 ‘노 골드’ 국가의 꼬리표를 뗐다. 도미니카공화국의 펠릭스 산체스는 남자 육상 400m허들에 출전해 금메달을 수확했고 타이완은 남녀 태권도 경량급에서 추무옌과 천쉬친이 나란히 금메달을 따냈다. 타이완은 중국과의 외교 문제로 시상식에서 자국 국기와 국가를 포기해야 했지만 첫 금메달의 감격은 이 같은 ‘설움’을 씻어내기에 충분했다. 최근 금메달 한 개의 경제적 효과가 약 567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해 이들 국가는 여러 모로 ‘신화의 나라’에서 신들의 축복을 받은 셈이다. /올림픽취재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