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IMF 차기총재에 우리도 적극 도전해야

성폭행 혐의로 기소된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사임함에 따라 차기 총재를 둘러싼 유럽연합(EU)과 신흥국들 간의 물밑경쟁이 치열하다. 중국ㆍ브라질ㆍ남아프리카공화국ㆍ터키 등 신흥국들은 "IMF 총재는 국적이 아니라 능력을 보고 뽑아야 하며 신흥국과 개도국의 대표성이 반영돼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신흥국의 공세가 거세지자 독일ㆍ프랑스 등 유럽은 "IMF 총재는 누가 되든 최대 출연자인 유럽에서 나와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브레턴우즈 체제에 따라 지난 1945년 출범한 IMF는 지금까지 모두 유럽인들이 총재를 맡아왔고 세계은행 총재는 미국이 독차지했다. 그러나 세계경제의 판도변화를 반영해 이 같은 구도는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들이 세계경제에 기여하는 비중과 역할이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IMF가 영국과 프랑스ㆍ독일 등 유럽의 지분율은 낮추는 대신 신흥국들의 지분을 크게 늘린 것도 이 같은 여건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이제 신흥국에서 IMF 총재가 나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최근 "IMF 차기 총재 자리는 마침내 비유럽인 후보, 어쩌면 아시아태평양 지역 후보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태지역이라면 우리나라가 가장 유력하다. 우리는 외환위기 때 IMF 구제금융을 받았지만 단기간에 상환하는 모범적인 국가로 전세계가 높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주요20개국(G20) 서울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와 IMF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경주합의 등을 통해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새로운 국제질서 확립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차기 IMF 총재 후보에는 사공일 무역협회장이 가장 적임이라는 지적이다. G20 서울정상회의 준비위원장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세계경제에 대한 높은 전문성과 폭넓은 글로벌네트워크 등이 충분히 검증됐기 때문이다. 유엔 사무총장에 이어 IMF 총재를 맡을 경우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위상과 영향력이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는 점에서 IMF 총재직을 우리나라가 맡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가 IMF 총재직을 맡는 데 대해 국제적으로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