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외환정책 '유입은 막고 유출은 풀고'

평가절상 압력 완화 위해 정책전환

중국이 외환보유고 증가로 환율개혁 압박이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외환의 해외 방출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의 정상적인 해외 방출 채널을 확대키로 한 것은 올 1분기 6천591억4천만달러로 늘어난 국가외환보유고가 중국의 환율정책의 실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중국인민은행은 26일 발표한 1분기 통화정책집행보고를 통해 "1분기 무역흑자와외환보유고의 급증으로 말미암아 화폐정책의 유효성이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고지적했다. 보고서는 외환관리시스템 개혁 심화와 국제수지 균형 촉진이 근래 화폐정책의방향이라고 전제하고 이를 위해 국제수지를 조절하는 시장시스템과 관리체제를 신속히 갖추고 대외경제의 협조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무역활동의 편의와 규범화 ▲자금의 합리적인 해외소통채널 확보 ▲외환시장의 적극적인 육성 발전 ▲외환자금 유입 및 결제관리 강화 등을 제시했다. 외환의 유입은 적절히 차단하고 유출 통로는 넓혀 지나치게 많은 외환이 국내에머무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외국투자기업과 외자은행의 외채관리를 강화해 단기외채의 급증을 막아 위안화 환율의 안정을 유지토록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 금융 전문가는 관영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중국의 통화정책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외환관리가 '유입 관대, 유출 엄격'에서 점차그 반대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이런 정책이 결국은 외환보유고의 비정상적 급증이 불러 온 위안화평가절상 압력을 일정 부분 완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제수지 흑자로 외환 보유고가 급증하면서 중앙은행이 위안화 방출을 늘리는 바람에 통화팽창 압력이 커지고 있다면서 이는 금융 거시조정에 나쁜 영향을미치며 중국의 외환관리에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blog.yonhapnews.co.kr/jeansap (베이징=연합뉴스) 박기성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