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빚 감면' 기대에 신용회복 신청 '뚝'

작년말 하루 1천건에서 최근 400건으로 급감상담건수는 10분의 1로 곤두박질

정부가 신용불량자 구제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신불자 딱지를 떼려고 노력하는 신불자가 올들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는 조금만 버티면 원금을 탕감받거나 빚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에 따른것으로 도덕적 해이 현상이 극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7일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정부가 신불자를 위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는방침을 잇따라 밝히면서 신불자에서 벗어나기 위한 채무조정 신청과 신용회복을 위한 상담이 대폭 줄어들었다. 채무조정 신청은 작년 12월 중순까지만 해도 하루 1천건을 넘었으나 12월 중순신불자대책 수립계획이 알려지면서 감소하기 시작해 지난 3일 602건, 4일 694건, 5일 760건, 6일 737건, 7일 794건 등으로 떨어졌다. 이어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7일 `기초생활보호자에 대한 채무 원금감면 검토'를 언급하자 8일에는 400건으로 급감했다. 채무조정 신청의 전단계로 인터넷, 전화, 방문 등을 통한 상담도 작년 11월에는하루 평균 4천여건에 이르렀으나 3일 819건, 4일 999건, 5일 1천9건, 6일 1천40건,7일 1천88건으로 떨어진 데 이어 이 부총리 발언 이후인 8일에는 476건으로 곤두박질쳤다. 이처럼 신불자 멍에를 벗기위한 노력이 줄고 있는 것은 정부가 신용불량자 지원대책을 발표하는 3월까지 기다리면 빚을 탕감받거나 적어도 지금보다 부담이 줄어들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런 기대를 반영하듯 서울 명동과 부산, 광주, 대구, 대전 등 전국 15개 신용회복위원회의 상담창구는 이전과 달리 한산한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 신용회복위원회 관계자는 "정부가 기초생활보호대상자나 영세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생활보호대상자나 영세사업자가 아닌 사람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