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펀드 담보 대출자 '이중고'

이자 부담, 수입 급감

펀드를 담보로 대출받은 사람들이 이자부담은 물론 주가하락에 따른 수익률 급락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23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에 은행들이 펀드를 담보로 대출해주는 상품을 경쟁적으로 선보였는데 이 대출상품을 이용한 사람들은 대부분 최근의 주가 급락으로 평가손실을 보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11월7일 펀드대출상품인 ‘펀드 파워론’을 선보인 후 2개월여 만에 327억원의 판매 실적을 올렸다. 펀드파워론은 주식형 펀드의 경우 평가금액에 따라 최고 70%까지 대출해주는 상품으로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 2.3%를 더한 수준의 이자에다 중도 상환하더라도 상환수수료가 없어 인기를 끌었다. 신한은행도 지난해 11월 ‘탑스펀드담보대출’을 선보여 이달 21일 현재 3,315건(43억원)의 대출 실적을 올렸다. 이 상품도 주식 편입 비율에 따라 평가금액의 70%까지 대출해주며 이자는 3개월 CD금리에 1.5∼2.0%포인트를 더한 수준이다. 국민은행의 펀드담보대출의 경우 지난 2006년 말 658억원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1월에는 1,077억원으로 두 배가량 늘어났다. 이처럼 펀드담보대출이 크게 늘어난 데 반해 최근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펀드 수익률도 급락해 대출자들의 부담도 늘어나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급한 돈을 조달하려고 보통 1년 만기로 펀드담보 대출을 받는 고객들이 많다”며 “이 기간에는 수익률이 급락하더라도 대출금액 등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다시 만기를 연장할 때는 평가액이 줄어들어 대출금액도 크게 감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