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9·19 대책후 시장은…] 수도권 그린벨트 '술렁'

후보지역 투자문의 부쩍 늘어<br>비용 부담·거래조건 까다로워<br>실제 거래 이뤄질지는 미지수

정부가 그린벨트를 풀어 서민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히면서 수도권 일대 그린벤트 지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경기하남시에 위치한 그린벨트 내에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 /서울경제DB

정부가 수도권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추가로 해제하기로 밝힌 가운데, 현지 부동산 시장에서는 당장 거래가 이어지기는 힘들겠지만 점차 외부 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다며 술렁거리고 있다. 21일 수도권그린벨트 주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그린벨트 주변 부동산중개업소에는 그동안 하루에 1건도 드물던 투자문의가 7~8건으로 늘어나는 등 관심이 부쩍 늘었다. 그린벨트 해제 후보지 중 한 곳으로 꼽히는 경기도 하남시 풍산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이미 발빠른 투자자들은 움직이는 조짐이 보이며 너무 늦게 뛰어들면 막차를 탈 수 있다”며 투자를 권유했다. 이런 현상은 그린벨트가 많은 과천ㆍ하남ㆍ고양ㆍ시흥ㆍ의왕ㆍ광명ㆍ성남ㆍ용인 등의 부동산 중개업소에서도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하지만 현지에서도 늘어난 투자문의가 곧바로 거래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대부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있어 거주요건을 채워야 하는데다 땅값도 이미 많이 개발기대감으로 많이 올라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시흥 뉴타운공인중개 김옥채 사장은 “이곳 그린벨트 토지에 관심을 보이는 외지 투자자들이 늘고 있지만 땅을 취득하는 절차가 워낙 복잡해 실제 매입으로 이어지는 사례는 드물다”며 “지주들이 땅을 팔기 어려운 상황에서 보유토지가 수용 개발될 경우 보상금이 원하는 값에 나오게 될지 불안해 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하남 애플공인중개 관계자는 “향후 보상평가액 산정에 유리한 대로변에 위치한 농지의 경우 3.3㎡당 500만~600만원은 잡아야 한다”며 “매물로 나오는 땅의 덩치도 커 최소 10억원 이상은 확보해야 유망지역 투자가 가능하다”고 귀띔했다. 매물도 드물다. 해제 유력지역 상당수에서 이미 외지인 투자를 통한 손바뀜이 몇 년 전부터 꾸준히 일어났기 때문이다. 과천 삼정공인중개 최선길 사장은 “이 지역의 경우 외지인 투자가 많아 외지인끼리 서로 사고 팔아야 할 형편”이라며 “양도세 등 세금부담이 워낙 커 매물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