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역도연맹 "포상금 계획은 아직…"

金등 메달 2개 땄지만 재정 형편 이유로 소극적

한국 역도 대표팀은 2008 베이징올림픽에서 전성기를 꽃피웠지만 ‘포상금’ 이야기만 나오면 힘이 빠진다. 재정이 열악한 대한역도연맹에서는 벌써 메달이 2개나 나왔지만 아직 포상계획이 없다. 배드민턴 금메달에는 무려 3억원의 화끈한 당근이 걸려 있고 탁구ㆍ체조ㆍ사이클ㆍ펜싱ㆍ요트 등 비인기 종목들 역시 금메달에 최소 1억원씩 우승 보너스를 지급한다며 소란을 떨고 있는 것과는 딴판이다. 금메달이나 세계 신기록을 작성해도 ‘전례가 없다’는 이유로 포상 규정을 만드는 데 소홀했고 든든한 스폰서 업체를 구하지 못한 탓이다. 그동안 연맹은 한국 신기록을 세울 경우 격려금 명목으로 50만원 정도를 지급해왔다. 사재혁은 지난 4월 왕중왕 대회에서 한국 신기록 3개를 세우고도 75만원만을 받았다. 2005~2007년 세계선수권을 3연패한 장미란은 2006년 인상과 합계에서 세계 신기록을 수립한 후 300만원의 포상금을 받았고 지난해에는 특별 격려금만 받았다. 장미란이 베이징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딸 경우 소속팀 고양시가 6,0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역도연맹의 한 관계자는 “넉넉히 지급할 형편은 안 된다. 올림픽 메달에 대한 포상을 어떻게 할지는 조만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