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농기계 업계도 구조조정

◎“수입선 다변화 폐지땐 일제 봇물” 감산 잇따라농기계업체들이 IMF한파 등으로 영업환경이 악화되자 구조조정을 서두르고 있다. 14일 농기계업계에 따르면 대동공업, 동양물산, 국제종합기계 등 농기계 업체들은 적자품목인 대형농기계 생산을 줄이고 해외투자계획을 수정하는 등 구조조정에 나섰다. 대동공업은 50마력이상 트랙터 등 대형기종의 내년 판매목표를 절반으로 줄였다. 베트남투자계획을 잠정 유보했고 트랙터작업기를 생산하는 미국 현지법인인 대동트라이텍에 대한 신규투자를 중단할 방침이다. 동양물산도 일부 대형농기계 품목의 생산중단을 고려하고 있다. 반면 인도네시아 부품공장 완공시기를 앞당겨, 가격경쟁력을 갖추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처럼 농기업계들이 구조조정에 적극 나서는 것은 내년 사업전망이 매우 비관적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농기계구입 융자금의 대출이율을 5%에서 3%로 낮추고 구입가격의 최고 90%까지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업계는 농기계 판매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수입선다변화 정책이 조기에 폐지되면 일본농기계가 대거 수입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경지특성이 유사해 농기계가 국내여건에 맞는데다 가격경쟁력까지 갖출 경우 급격한 수입증가가 예상된다. 특히 국내 농기계 생산업체들이 대부분 일본업체와 기술제휴로 농기계를 생산하고 있어 독자영업으로 돌아설 경우 충격이 더욱 커진다. 중소형농기계는 국산화가 90%이상 이뤄졌지만 대형기종의 경우 국산화율이 50%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경원이 농어민들에게 공급하던 면세유를 없애고 농기계의 0세율 적용도 폐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업계를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농기계업계의 한 관계자는 『농기계업계들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돼 내년에는 중소업체는 물론 대형업체도 한 두개사가 도태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문병도 기자>

관련기사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