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외자기업에 임금인상 압력 거세질 듯

500대 기업에 노조설립 유도

중국에 진출한 외자기업에 대한 근로자의 임금인상 압박이 갈수록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정치자문기구인 전국정치협상회의 위원 자격으로 중국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및 전국정치협상회의)에 참석 중인 장밍치(張鳴起) 전국총공회 부주석은 10일 중국경영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에 진출한 세계 500대 기업에 대해 공회(노동조합) 설립을 유도하는 동시에 근로자 임금인상을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에서 기업의 공회 설립은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이지만 중국 정부는 올 들어 소득분배와 계층 간 균형성장을 강조하면서 사실상 공회 설립을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중국 근로자 임금은 당국이 수출에서 내수 주도로의 경제성장 방식 전환을 천명하면서 소비확대를 위해 지난 2009년부터 연평균 20% 안팎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장 부주석은 "올해부터 맥도날드ㆍ월마트ㆍ까르푸 등 대형 다국적 유통업체에 대한 임금단체협상을 진행하도록 할 것이며 글로벌 외자기업이 밀집한 톈진시 빈하이(濱海) 신구의 경우 역내 1만2,000개 기업의 80%가 연말까지 임금단체협상 제도를 마련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업의 이익상승에 따라 근로자 임금도 올라갈 수 있도록 세계 500대 기업에 대한 임금단체협상 제도를 확립해나가겠다"며 "근로자들이 단체협상을 통해 임금은 물론 근로시간ㆍ휴가ㆍ보험ㆍ복지 등 다방면에서 권익을 보호해나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장 부주석은 "임금단체협상 제도가 이미 전국 28개 성에서 정착했으며 일부 업종에서는 이로 인한 임금인상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당국은 이에 앞서 올 1월부터 '공회경비 세무대리 징수' 규정을 만들어 세무당국이 공회가 없는 기업에도 임금소득의 2%를 '공회 설립 준비금' 명목으로 징수하도록 해 사실상 기업이 공회를 설립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이병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