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9월 24일] 폭우피해 키운 '부실 3박자'

추석날 아침부터 쏟아진 폭우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부 지역이 물바다로 변해 많은 이재민을 내고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서울에서만도 2명이 실종되고 1만4,000가구가 침수피해를 입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가용인력을 총동원하는 비상근무 3단계를 발령한 것은 오후7시로 빗줄기가 약해진 뒤였다. 이번 폭우에 따른 수해는 기상청의 빗나간 예보, 당국의 늑장대처, 허술하기 짝이 없는 하수처리시설 등이 어우러져 피해를 키웠다. 100년 만의 폭우를 맞아 예보 당국은 추석에 들떠 있다가 서울을 비롯한 도심 대부분이 물바다로 변해 간선도로는 물론 가옥ㆍ자동차 등 시민의 재산이 물에 잠겼는데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물을 흘려 보내기는커녕 역류로 물을 뿜어내는 하수구는 서울의 하수처리 인프라가 얼마나 부실한가를 여실히 보여줬다.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자 서울시ㆍ인천시와 경기도 등은 78억원의 재난지원금을 마련해 침수피해를 본 가구에 100만원씩 현금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생색'을 냈다. 재해 때마다 되풀이되는 일이다.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피해가 나면 그제서야 구호니 지원이니 뒷북을 치는 것이다. 1만4,000가구에다 자동차 등의 침수피해까지 포함하면 피해액은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피해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해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해야 한다. 지난 겨울 폭설과 이번 폭우를 거치면서 확인된 것 가운데 하나는 수도 서울이 자연재난에 거의 무방비 상태나 다름없는 형편없는 도시라는 사실이다. 자연재해가 닥칠 때마다 시민들이 엄청난 고통을 감수해야 하는 것은 도로ㆍ하수시설 같은 인프라가 부실하고 부족하기 때문이다. 말짱한 보도와 도로 파 뒤집기를 일삼고 한강르네상스니 디자인이니 하는 따위의 겉치레를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을 퍼부으면서 폭우 등의 자연재난으로부터 시민과 시민의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은 뒷전으로 밀려난 결과이다. 지난 겨울 폭설 때도 그랬지만 이번 폭우는 도시로서 서울의 문제가 어디에 있는지를 드러냈다. 이제부터라도 도로ㆍ하수시설 등 도시의 인프라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 겉치레와 전시를 위한 예산낭비 사업을 중단하고 교통과 하수시설 등 도시의 기본기능을 확충하는 도시행정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