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카드사 위조·부정거래 근절 부심

◎비자­위험확인시스템 내년 도입 계획/국민­이상 징후 포착 조기검색제 시행/동양­거래패턴 분석 「위험관리제」추진최근 발생한 외국인들의 위조카드 사용건과 관련, 위조및 부정카드의 거래를 차단키위한 다각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영국인과 나이지리아인으로 구성된 국제 위조카드 사기 사건으로 국내 카드시장도 더이상 국제카드 범죄조직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에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외국인들에 의한 카드사고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각 업체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신용카드는 카드뒷면의 마그네틱스트라이프내에 계좌번호 유효기간 서비스코드 등을 내장, 비밀을 보호하고 있는데 사실상 이것이 거의 완벽하게 위조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업체들은 대개 가맹점이나 카드회원을 대상으로 카드결제및 사용내역을 일정기간 추적, 평균치를 넘어설 경우 확인토록 하는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나 위변조카드를 잡아내는데는 역부족인 것이다. 실제 이번 사건의 경우 이같은 시스템이 가동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근본적인 취약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돼 일부업체들을 중심으로 나름대로의 대응책을 마련중에 있다. 비자카드는 일명 카드소지자 「위험확인서비스(CRIS)」시스템을 빠르면 내년상반기부터 국내에 도입할 계획으로 회원업체들과 협의를 벌이고 있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시스템을 통해 백화점 유흥업소 등 카드가 사용되는 시장의 거래패턴을 스스로 분석, 카드소지자의 평균 거래실적을 넘어서는 등의 경우 카드사에 즉시 경보를 알려주는 것이다. 국민카드는 올초부터 종전 가맹점 정보만을 확인하는 조기경보시스템보다 한단계 앞선 「승인실적 조기검색제도(TDIS)」를 도입, 시행하고 있다. 이는 가맹점과 회원에 관한 모든 정보를 상호연계, 최근 11개월간 가맹점 카드승인실적 자료와 회원의 거래내역 등을 검색해 이상증후가 발생하는 경우 확인토록 하는 것. 동양카드는 일종의 조기경보시스템으로 거래패턴에 이상증후가 있는 경우 차단토록하는 「거래특이자확인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내년부터 이보다 한단계 앞선 「위험통합관리시스템(URM)」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그동안 회원들의 직업이나 연령층 등 1백여개군으로 나눠 거래패턴을 분석, 정상치를 벗어날 경우 확인토록 하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와관련 『현실적으로 현재의 상황아래서 거의 완벽하게 이뤄지는 위변조카드를 적발하기는 쉽지않다』며 『대신 복제가 불가능한 IC카드를 실용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남문현>

관련기사



남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