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 노사·지역경제 '후폭풍' 우려

노조 도덕성에 치명타…생산활동 위축 가능성

대기업 노사·지역경제 '후폭풍' 우려 노조 도덕성에 치명타…생산활동 위축 가능성 기아차 광주공장 노조 간부의 채용과정 금품수수 사건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기아차 노조는 물론 대기업 노사관계 전반과 지역경제에 엄청난 '후폭풍'이 몰아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노조가 권력화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사건이 터져 노조의 도덕성에 심각한 타격을 받는 것은 물론 사측의 묵인 내지 방조의혹까지 제기돼 기아차의 이미지도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자 노조 간부와 회사 관계자 등이 커넥션을 형성하고 비정규직 채용인원을 할당해온 조직적인 비리 사건이라는 의혹 등이 잇달아 터져 나와 파장이 간단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검찰이 노조 차원의 일이라며 다소 조심스럽게 사건을 접근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드러난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어떤 식으로든 회사측 인사들이 관련됐을 소지가 많은 상황이다. 실제로 검찰 수사착수 이후 기아차 광주공장 주변에서는 '생산계약직 채용비리는 노사 합작품'이라는 소문이 나돌았다. 노조 홈페이지에도 이 같은 문제제기가 잇따랐다. 한 조합원은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회사 직원들은 생산계약직 채용할당 사실을 이미 다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조합원은 "노조가 채용을 추천한 사람들은 대부분 노조 간부의 친인척이거나 노조 간부에게 뒷돈을 댔다는 게 공장 내부의 공공연한 사실"이라며 "무려 400명이나 부적격자가 채용된 건 사측의 개입이나 묵인이 없고서는 불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올초 전격적으로 단행된 기아차의 인사에서 사장과 부사장급인 광주공장장, 인사부서 간부 등이 줄줄이 경질된 것도 이번 사건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주공장 주변과 지역경제계에서는 광주공장장 등이 노조간부의 금품수수 사실을 알고 있었고 이를 막지 못한 데 대해 최고경영진에서 문책 인사를 실시한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채용비리 사건은 광주지역 경제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기아차 공장이 삼성전자 공장과 함께 광주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검찰 수사 확대에 따른 기아차 공장의 생산활동 위축은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임석훈 기자 shim@sed.co.kr 광주=최수용기자 csy@sed.co.kr 입력시간 : 2005-01-21 20:3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