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 잇단 脫코드행보 해석 엇갈려

노무현 대통령의 최근 재벌ㆍ언론관련 발언과 내각 및 청와대비서진 인선을 놓고 국정운영의 근본적인 방향선회란 견해와 총선을 겨냥한 `보수층 껴안기`란 시각이 엇갈려 주목된다. 노 대통령은 취임 1주년을 며칠 앞두고 참여정부 출범 이후 대표적인 개혁대상 세력으로 꼽아온 재벌과 언론에 대해 유화적인 메시지를 보냈다. 이에 앞서 개혁성에 바탕한 코드 중심의 참신한 인사들이 포진된 내각과 청와대비서진의 주요 포스트에 코드보다는 경륜을 앞세운 인사들을 선택했다. 노 대통령은 불법 대선자금을 건넨 일부 대기업 총수에 대한 검찰의 사법처리 방침이 나온 16일자 중앙일보와의 대담에서 “기업인에 대한 직접적인 처벌로 바로 진행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또 대(對) 언론관계 방향에 대해서도 “대통령으로서 감정적 대응은 절제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 개각 때 내각의 양날개인 경제ㆍ교육부총리에 노 대통령에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온 이헌재 전 재정경제부 장관과 안병영 전 교육부 장관을 임명했다. 청와대 비서진 교체에서도 정치색이 없는 김우식 연세대 총장과 참여정부 개혁성향 인재 풀 산실인 `민변` 출신이 아닌 검찰 출신인 박정규 변호사를 각각 비서실장과 민정수석에 앉혔다. 청와대와 열린우리당 등 여권은 노 대통령이 취임 1주년을 맞아 국정운영 방향을 자연스럽게 바꿔가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우여곡절 끝에 마련한 250여개 개혁 로드맵에 따라 안정속의 개혁을 추진하겠다는 노 대통령의 의지가 담겨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노 대통령은 우선 두달 앞으로 다가온 다가오는 4.15 총선 때까지 정치에 초연한 자세로 공정한 선거관리를 하면서 일자리 창출, 신용불량자 해소 등 민생과 경제에 전념할 것이란 게 여권의 관측이다. 노 대통령이 내각에서 이헌재ㆍ안병영 부총리와 부총리급 승격을 추진중인 오명 과학기술부 장관, 비서실에서는 김우식 실장에 부쩍 힘을 실어주고 있는 점이 그 반증이라고 여권은 설명한다. 그러나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야권은 노 대통령의 최근 행보가 총선을 앞두고 보수층의 지지를 끌어내기 위한 일시적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노 대통령이 대중인기가 높은 일부 장ㆍ차관과 청와대 참모들을 당사자의 뜻과는 무관하게 `징발`하고 선심성 정책들을 쏟아내 `총선 올인`하는 마당에 `국정올인`한다는 여권의 주장은 제스처이고 기만이라는 것이 야권의 시각이다. 특히 야권은 노 대통령이 보수층의 강력한 저항에 굴복한 것이며 ▲30% 안팎의 낮은 지지율 ▲잇따른 측근비리 의혹 제기 ▲바닥난 개혁인재 풀 ▲보수층의 강력한 저항 등을 호도하기 위한 전술 또는 고육지책으로 평가하고 있다. 노 대통령의 입장변화에 대한 두갈래의 이 같은 시각은 여ㆍ야권의 기존 지지층 표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쳐 4.15 총선 변수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구동본기자 dbkoo@sed.co.kr>

관련기사



구동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