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카다피 사망]국내 업체, 리비아 재건 사업 탄력받을 듯

카다피가 사망, 리비아의 정치적인 불안정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리비아 재건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3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리비아 재건 사업에 대한 한미 정상 간의 합의가 있은 지 얼마 안돼 카다피 문제가 매듭지어지면서, 정부 차원에서도 조만간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코트라는 리비아에서 우리 업체들이 플랜트, 주택 건설 등 최대 400억 달러 규모의 재건 사업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20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리비아 진출 국내 건설회사는 21곳, 공사잔액은 74억 달러 수준이다. 업체별 공사잔액은 대형 건설업체 중에는 현대건설이 15억2,430만 달러, 대우건설이 8억6,080만 달러다. ㈜신한(16억1,780만 달러), 원건설(11억1,350만 달러), 한일건설(7억9,180만 달러) 등 중견 건설회사들도 상당한 금액의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카다피를 축출한 리비아 과도정부는 지난 9월 말 이미 현지 진출 국내 건설업체들에게 개별적으로“사회간접자본(SOC) 건설에 적극 협력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리비아 진출 국내 건설업체들은 이미 직원을 현지에 수 차례 파견해 현장 상황을 점검하거나 아예 리비아 공사 현장에 상주시키는 등 공사 재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카다피가 결사 저항을 외치며 생존해 있던 것은 국내 업체들에게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섣불리 과도 정부의 말을 믿고 리비아에 다시 진출했다가 내전에 휘말릴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다피가 사망하면서 리비아 내전 종식과 재건 사업 일정은 보다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현재 리비아 건설시장에 진출, 연고권을 가진 업체들이 최대 수혜주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리비아에 진출한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국내 건설업체들이 리비아에서 수주 사업을 진행하면서 카다피와 유대관계를 쌓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과도 정부가 국내 업체들을 내칠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며 “리비아 건설 시장을 잘 알고 있고 과도 정부 인사들과 네트워크도 구축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수혜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과도정부가 민주적인 선거 등을 통해 신정부로 거듭 다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과도 정부 내에서 권력 투쟁이 벌어질 경우 리비아 재건 사업 역시 다시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 해외건설협회의 한 관계자는 “리비아 상황이 완벽하게 안정되기 까지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30여년 가까이 축적해온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업계에는 시장 확대의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