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진 의원도 총선 불출마 선언 했지만… 친박계 영남 중진들 요지부동

종로에서 3선을 지낸 박진 한나라당 의원이 23일 내년도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하면서 '불출마 도미노'의 불씨를 댕겼다. 하지만 '자발적 용퇴론'의 대상으로 거론되는 친박근혜계 영남 중진 의원들 중 불출마를 밝힌 의원이 나오지 않고 있다. 박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당을 살리기 위해 정치 1번지 종로를 대표하는 저 자신부터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이어서 "한나라당의 진정한 쇄신과 변화를 위해 몸을 던지겠다"며 불출마선언이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임을 밝혔다. 현재 한나라당 의원 중 불출마 선언을 한 의원은 6선의 이상득(경북 포항남ㆍ울릉), 5선의 김형오(부산 영도), 3선의 원희룡(서울 양천갑), 초선의 홍정욱(노원병)ㆍ현기환(부산 사하갑)ㆍ장제원(부산 사상구) 등이다. 특히 친박계 의원이 아닌데다 중진 의원 중에서도 비교적 연령대가 낮은 박 의원(55세)이 불출마 선언을 하면서 친박계 영남 중진 의원들의 거취에 당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친박계 영남 중진 의원들은 '물갈이론'은 있을 수 없다는 반응이다. 불출마 선언 의원들 각자의 사정에 의해 불출마가 이뤄진 것을 두고 '당 쇄신을 위한 자발적 용퇴'로 몰고 갈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중진 의원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본인의 정치 소신과 선거 여건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지 중진이라고 해서 획일적으로 불출마 대상에 올려 놓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상득 의원 보좌관이 SLS그룹 이국철 회장 로비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것 같이 (의원들의 불출마 선언) 배경을 일일이 짐작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 의원은 자신의 보좌관이 SLS그룹 로비와 관련해 구속되는 시점에 불출마 선언 의사를 밝혔다. 같은 날 불출마를 선언한 홍 의원도 자신의 지역구인 '노원병'이 내년 총선에서 노원 갑ㆍ을로 분산해 통합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불출마 선언을 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받고 있다. 또 박 의원의 경우도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벌금 80만원을 선고 받아 공천에서 불리한 위치에 서 있는 상태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