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새영화] 비독

혼란기 佛 영웅 비독을 좇아…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프랑스에 일대 파란을 일으켰던 인물 비독(1775~1875)은 서민으로 태어나 위조범, 도둑, 노상강도, 인신매매, 밀매등 각종 범죄를 일으키고 다녔던 괴도였으며 명탐정으로 알려졌다. 그는 숱하게 투옥되었고 50~60번에 이르는 탈옥경력을 갖고 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변장술에 능했기 때문. 구랍 28일 개봉된 '비독'의 무대는 1830년 파리. 이곳에는 거울가면을 쓴 정체불명의 살인마가 나타나 시민들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었다. 시민들의 열망을 한몸에 안고 연쇄살인범 추적에 나선 명탐정 비독은 그의 꼬리를 붙잡는 데 성공하지만 검술대결에서 불의의 일격을 받아 화염이 치솟는 구덩이로 추락한다. 비독이 죽었다는 소식으로 온 파리시내가 비통함에 잠겨 있는 가운데 그의 전기를 집필하던 젊은 기자 에틴 보아세가 비독의 죽음을 둘러싼 의문을 조사한다. 그러나 사건의 실마리는 좀처럼 풀리지 않고 관련자들은 하나씩 죽어나간다. 영화 속 배경은 나폴레옹이 물러난 뒤 왕정복고운동을 이끈 샤를 10세가 왕으로 군림하고 있던 시절. 그는 대혁명으로 이미 자유의 바람에 중독된 민중들을 탄압하며 왕권 강화와 귀족 우대 정책을 펼치다가 1830년 7월혁명이 발발하자 단두대를 피해 영국으로 망명했다. 비독과 유리가면의 대결 뒤에는 민중과 귀족들의 막판 힘겨루기가 치열하게 전개됐던 것이다. 화면에서 혁명 전야의 긴박한 고요를 감지하기는 어렵지만 비독이영웅으로 떠올랐던 속사정은 짐작이 간다. 특수효과 전문가에서 감독으로 변신한 피토프는 국민배우 제라르 드파르디유를내세워 관객들의 애국심을 한껏 자극했다. 이 전략은 잘 맞아떨어져 지난 9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공세로부터 프랑스 영화시장을 지켜내는 데 톡톡하게 기여했다. '잃어버린 아이들의 도시'의 미술감독 장 라바세가 꾸며낸 연금술사들의 작업장과 음습한 파리 뒷골목도 신비한 분위기를 풍겨내고 수미쌍관의 구성도 제법 촘촘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