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폭스바겐 무한질주

9월 수입차 신규등록 2,457대 1위


‘소비 왕국’ 미국이 ‘생산 대국’으로 새롭게 부활 하고 있다. 이는 국산 부품 수출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7일 KOTRA는 최근 미국 제조기업들이 해외 생산시설을 본국으로 이전하는 ‘리쇼어링’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KOTRA는 이 같은 현상의 배경으로 ▦중국 등 신흥국의 임금 인상폭이 생산성 증가율을 초과해 해외생산으로 인한 비용절감이 어려워진 점 ▦미국 내 인건비 인하와 달러화 약세 ▦셰일 가스 개발 등에 따른 에너지 가격 인하 등을 꼽았다.

관련기사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유턴 기업’ 지원책 강화도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자국 기업이 미국으로 귀환할 경우 공장 신설 비용의 20%를 지원하고 있다.

덕분에 포드, 애플, 구글 등의 대표적인 미국 기업들이 최근 자국에서의 공장 설립 계획을 잇따라 발표했다. 도요타, 지멘스, 구보타 등 미국에 진출해 있는 외국계 기업 역시 미국에서의 생산 물량을 확대하는 추세다.

이 같은 흐름은 기술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 기업이 부품 수출을 늘릴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 실제로 세계 최대 건설 중장비 제조기업인 캐터필러는 지난 2010년 KOTRA와 부품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한국산 부품의 수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편 KOTRA는 앞으로의 수출 확대를 위해 7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국내ㆍ해외 기업 관계자들을 초청해 ‘글로벌 파트너십 USA 2013’ 행사를 개최했다. 강영수 KOTRA 시카고무역관장은 “미국 기업들의 리쇼어링 현상과 한미 FTA 효과가 맞물려 부품 소싱은 물론 우수한 품질과 기술력을 갖춘 우리 기업과의 전략적 기술 협력까지 희망하는 미국 기업이 급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