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제조업 양극화와 환율 비상… 중기 맞춤형 부양책을

국내 제조업에 회생 기운이 감돌고 있다는 통계수치가 30일 잇달아 발표됐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4월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82로 전달(81)보다 1포인트 상승해 2월 이후 석 달 연속 올랐고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4% 늘어 2월 1.3% 감소에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현실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지표는 그저 수치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중소 제조업 현장의 찬 기운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날 발표된 지표에는 세월호 침몰의 여파가 반영되지 않았다. 통계청의 산업활동 동향과 한은의 BSI는 조사 대상 업체들이 세월호 사태의 여파를 인식하기 전에 대부분 완료된 것들이다. 반면 조사 대상 기업의 71.4%가 세월호 참사 이후 답변한 결과를 담아 하루 전인 29일 발표한 전국경제인연합회의 4월 BSI 실적치는 95.8로 전월의 100.7에 비해 크게 후퇴했다.

관련기사



대기업·중소기업 간 양극화 심화 역시 제조업 경기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내준다. 한은 BSI를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업황 BSI는 전달보다 5포인트 오른 86을 기록했지만 중소기업은 2포인트 하락한 79였다. '중소기업 대통령'을 표방한 박근혜 정부에서조차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 문제는 별반 달라진 게 없는 양상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에는 환율 고통까지 중소기업들을 엄습하고 있다. 29일 원·달러 환율은 1,030원60전을 기록했다. 5년8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현대·기아자동차나 삼성전자 등 대표적 수출 대기업들은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더라도 이미 글로벌 사업 전개 등 충분한 대비책을 강구해놓았지만 가격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은 수출길이 막히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세월호 여파로 가중된 내수부진은 매출에 치명타가 될 수밖에 없다.

중국은 7.5% 성장목표가 흔들리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소득세 감면 확대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한 '미니 부양책'을 긴급 가동했다. 체감경기에 민감한 중소기업 쪽부터 군불을 지펴야 내수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우리도 '중소기업 맞춤형 경기부양'의 긴급 처방을 고려해볼 만한 시점이다. 전체 기업의 99%를 차지하고 취업인구의 88%를 책임지는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